[김동환의 정치워치] 일본의 증세 이후, 증세 논의
과실의 분배에서 고통으로 분배로

2019년 10월 1일 일본 정부는 소비세율을
8%에서 10%로 인상했다. 앞으로 10년 간 증세는 없을 것이라는 예측도 없지 않으나 10% 이상의
소비세에 대한 논의는 이미 시작되었다. 현재 일본 정부는 2025년까지
기초재정지수(PB)를 흑자로 전환시키는 재정건전화 목표를 내걸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성장기조가 이어진다고 가정해 보면 2025년에도 기초재정지수는 GDP 대비 1.2%의 적자가 생긴다.
IMF(국제통화기금)는 사회보장비를 충당하려면 소비세율 15% 도입이 적절하다고 제안하고
있으며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소비세만으로 확보할 경우, 20~26%까지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소비세 인상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은 고령화와 이와 함께 증가하는 사회보장비에 기인한다. 실제, 재정적자의 큰 요인은 사회보장비이며 재정건전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사회보장은 지속될 수 없다. 소비세 인상은
경기악화의 "원인"이 될 것이라는 비판도 있으나, 증세는 사회보장비 증가의 "결과"일
뿐이다. 세출의 효율화를 추진하고자 할 때 가장 중시해야 할 점은 사회보장의 재원을 어디서 확보하느냐이기
때문이다.
만약 소비세
인상을 하지 않는다면, 결국 보험료를 인상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보험료 인상은 노동자의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며 고용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오히려 소비세 인상이 세대 간 부담을 분배하고, 노동시장에 악영향이
적을 것이다.
소비세가
아닌 소득세 인상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단, 소득세
인상은 일부 납세자에게 부담이 집중되고 노동의욕을 저하시킬 수 있다. 법인세에 대해서는 경제활동이 세계
우수 기업들과의 경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다른 국가들보다 높은 법인세율을 적용하는 것도 점차 곤란해질
것이다.
자민당 정권이
추구하던 이념적/정책적 좌표는 시대에 부응하는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경제성장을 추구하고 그 과실을 사회에 권위적으로 재분배하던 선순환의 정치는 경제 불황과 겉잡을 수 없이 불어나는 재정적자로 인해 그
실효성에 의문이 던져지고 있다. 신성장 동력
부재,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사회보장비의 증가와 양극화 심화는 일본 정부에 거대한 재정적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본은 GDP대비
200%에 달하는 재정 적자에 괴로워하고 있으며 이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대대적인 구조개혁과 세제개혁을 준비해야 한다.
(politics in hard times)" 판을
짜야 할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김동환 박사 / kdhwan8070@naver.com
일본 리츠메이칸대학 정책과학 박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대박땅꾼의 땅땅땅] 왜 토지투자를 할까? 목표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정부 정책을 따라간다
- [이지연의 스마트 스피치] 자발적 IR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사람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1시간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무모한 도전이 될까, 위대한 도전이 될까?
- [대박땅꾼의 땅땅땅] 꼼꼼히 준비해야 하는 지목변경
- [대박땅꾼의 땅땅땅] 기획부동산을 조심하자
- [기고] 국가인재생태계 개혁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3,000만 원짜리 토지 투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삼성證 "삼성바이오로직스, 실적 성장 기대…목표가↑"
- 2"주주환원 최우선"…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원 추가 매입 결정
- 3NH투자 "엔터 산업, 성장 호재 지속…비중 확대 기회"
- 4DS투자 "DB하이텍, 中 이구환신 수혜 예상…목표가↑"
- 5한국토요타자동차, 시흥에 부품물류센터 신규 오픈
- 6HD현대, 서울 모빌리티쇼서 건설기계 신모델 선봬
- 7캐롯, 삼성물산 '홈닉'과 제휴…주택종합보험 간편 가입 혜택 제공
- 8제주항공, 항공기 엔진 교체…"안전운항 강화"
- 9핀다, '소상공인 컨설팅 생태계 확장' 업무협약 체결
- 10이재용, 글로벌 경영 행보… 中 이어 日 '출장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