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더 오른다는 기대감, 주택 증여↑…김포시 가장 多

[서울경제TV=이아라기자] 쏟아지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에도 서울 아파트 가격이 치솟으면서, 서울 접근성이 좋은 수도권 지역 주택보유자의 경우 ‘집값은 결국 오른다’는 학습효과로 주택을 팔지 않고 증여를 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다주택자들은 세 부담이 커지면서 양도세와 보유세 등을 피하고자 증여로 눈을 돌렸고, 아직 매도할 시기가 아니라고 판단한 자산가들은 자녀에게 증여하는 방법을 택했다. 또한 최근에는 종부세 절세를 위해 부부간의 증여도 늘어나는 추세다. 이 같은 분위기에 따라 경기도의 주택 증여 거래량 역시 많이 증가하고 있는 분위기다.
부동산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제만랩이 한국감정원의 주택증여거래량을 살펴본 결과, 올해 1~10월 경기도 주택 증여 거래량은 2만 4,529건으로 지난해 1~10월 증여 거래량인 2만 1,648건보다 13.31% 증가했다.
특히 경기도에서도 주택 증여 거래량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김포시로 나타났다. 지난해 1~10월 김포시의 주택증여거래량은 243건에 불과했지만, 올해 1~10월에는 2,169건으로 전년 대비 1,926건이나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외에도 수원시는 지난해 1~10월 주택증여 거래량이 1,089건이었지만, 올해에는 2,485건으로 전년 대비 128.19% 상승했고, 안양시도 같은 기간 602건에서 1,107건으로 83.8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초 정부가 다주택자와 고가주택자들의 종부세율을 높이고 주택 공시가격도 올려 집값을 잡으려 했지만, 다주택자들은 매매 대신 증여로 세금 부담을 줄이고 ‘버티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한편, KB부동산에 따르면 올해 1월 경기도의 주택 매수우위지수는 28.7 수준이었지만, 11월에는 51.9로 상승해 81%나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팀장은 “앞으로 주택 가격이 더 오를 수 있다고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집을 파느니 자녀에게 물려주자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며 “수도권의 증여 거래량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거래량은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씨어스테크놀로지, 몽골서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실증 돌입
- LG 구광모, 인도 이어 인니로…‘글로벌 사우스’ 공략
- “디자인 창업 키운다”…‘서울디자인창업센터’ 킥오프
- “새 정부 기다렸는데”…규제에 발목 잡힌 건설사
- ‘한앤코 1년’ 남양유업…“이사회 독립성·다양성 미흡”
- 아우디코리아, A5·Q5 신차 공세…반등 신호탄 쏘나
- KAI 사장 잔혹사…정권 따라 교체? 낙하산 인사?
- [이슈플러스] “AI시대 공조시장 잡아라”…삼성·LG ‘승부수’
- KT, NH농협은행 ‘차세대 컨택센터 구축’ 사업 수주
- 한전 "홈페이지, 고객 중심으로 전면 새단장 오픈"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고창군, ‘유일’ 출산·유아용품 전문판매점 ‘고창아이랑’ 개원
- 2씨어스테크놀로지, 몽골서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실증 돌입
- 3안양시'혹서기 취약계층 쿨매트 지원'
- 4“신약개발 선도 연구자 발굴”…제5회 임성기연구자상 공모
- 5LG 구광모, 인도 이어 인니로…‘글로벌 사우스’ 공략
- 6“디자인 창업 키운다”…‘서울디자인창업센터’ 킥오프
- 7한화투자證, 비상장사 투자로 IB 활로 모색
- 8생보 몸집 키우는 우리금융…농협 제치고 5위로
- 9“새 정부 기다렸는데”…규제에 발목 잡힌 건설사
- 10양대 시력교정술…‘스마일라식 vs 렌즈삽입수술’ 만족도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