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투자, 초대형IB 발목잡히나…'라임 사태’ 공범 덜미

[서울경제TV=고현정기자] 금융감독원이 라임자산운용의 판매 사기 의혹과 관련해 신한금융투자의 공범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확보한 것으로 3일 확인됐다. 이에 신한금투가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초대형 IB 인가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이 이른바 ‘라임 사태’와 관련해 신한금투에 대한 1차 조사를 마친 결과, 라임자산운용이 해당 펀드의 손실을 알고 지분 일부를 싱가포르 R사에 넘기던 시기에 라임 측과 신한금투가 의사소통한 흔적이 포착됐다. 현재 금감원은 라임자산운용이 투자한 무역금융펀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의 IIG 펀드자산이 사실상 가짜 대출 채권을 바탕으로 ‘폰지 사기’, 즉 다단계 사기를 벌인 사실을 라임자산운용과 신한금투 측이 미리 알았는지 여부를 조사중이다.
신한금투가 해당 펀드의 손실이나 사기 이슈를 알고도 투자자에게 알리지 않았다면 이는 단순 불완전판매 등 자본시장법 위반을 넘어서는 형법상 사기 혐의가 된다. 신한금투는 그동안 라임 측에 헤지펀드 운용에 필요한 자문과 리서치를 제공하고 수수료를 받았고, 이 상품을 일반 투자자에게도 판매해왔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이같은 혐의에 대해 두 회사를 수사 의뢰하기로 하고 검찰과 일정을 조율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신한금융투자가 연초를 목표로 했던 ‘초대형 IB’ 진입에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신한금투는 지난해 9월말 연결기준 자본총계를 4조2,000억원으로 확충하며 초대형 투자은행의 최소요건을 충족하고 올초 발행어음 인가를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이번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금융당국의 인허가가 필요한 신규 사업에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실제 KB증권도 자전거래 전력 및 횡령 사건 등 여러 리스크가 부각되며 수년간 발행어음 인가에 차질을 빚었던 바 있다.
한편, 신한금투 측은 “초대형 IB 인가는 라임 사태와 별개로 지난해 11월에 진입 요건을 모두 충족한 상황”이라며 “발행어음 인가는 올해 안에는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라임 사태와 관련한 금감원 조사에는 성실히 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생산적 금융' 압박에…은행권, 기업금융 어쩌나
- 보험업계, 상생기금 300억 조성…무상보험 지원
- 첫돌 만에 급성장 우리투자證…IPO·위탁매매도 시동
- 보험사 건전성 '경고등'…홈플 여파로 메리츠 직격탄
- BNK금융, 카자흐스탄 은행법인 개소…중앙아시아 금융벨트 구축
- 지오스토리, 정부사업 파트너 선정…'HCMI 맵 개발 사업' 참여
- 에이엘티, 자체 AI 플랫폼 '마이넷' 구축…"글로벌 시장 공략"
- 캔버스엔, 인수 주체는 자본잠식社 오너…딜 성사 '불투명'
- KB증권, 가족돌봄아동 지원 ‘행복뚝딱 깨비증권 바자회’ 진행
- 한투운용, 엔비디아 편입한 ACE ETF 2종 추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천년고도 경주에서 만나는 이색 북크닉. . .경주시립중앙도서관, 다양한 독서문화 행사 운영
- 2경주시, ‘2025 한국정책대상’ 최우수정책상 수상
- 3영천시의회, 부산 봉산마을 빈집활용 우수사례 벤치마킹
- 4피해자 보호 실효성 높인다…"성남시의회, 학폭 대책 토론"
- 5대구광역시, 대구 청춘들의 특별한 만남. . .‘청춘 만남 축제’ 개최
- 6대구시 외식업소 일자리 알선사업, 불황 속 숨통 틔우다
- 7대구시, 국토부 ‘2025년 UAM 지역시범사업’ 선정…미래항공산업 중심지 도약
- 8경북 한우, 홍콩 수출 본격화...현지 TV 통해 우수성 알려
- 9경북도, 도심항공교통(UAM) 지역시범사업 지원 공모 선정
- 10달성군, 스마트폰 사용조절 프로그램 참여 단체·기관 모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