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츠 인가·등록 업체 2년 연속 증가…자산규모 48조7,000억 돌파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갈 곳 잃은 부동자금이 부동산 간접 투자 리츠로 몰리는 분위기다.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s)란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 투자방식을 말한다.
14일 수익형 부동산 연구개발기업 상가정보연구소가 국토교통부 리츠정보시스템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20년 1월 13일 기준 등록된 리츠 수는 248곳으로 조사됐다. 리츠 통계가 집계된 2012년(71곳) 이후 리츠의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019년 인가 또는 등록된 리츠 업체는 49곳이었다. 2017년 33곳, 2018년 34곳의 업체가 인가 또는 등록 됐으며 인가·등록된 리츠 업체 수는 2017년 이후 2년 연속 증가했다.
지난 2018년 약 43조2,000억원이었던 리츠의 자산규모도 2020년 1월 13일 기준 48조7,000억원을 넘었다. 이는 2018년 대비 약 12.7% 증가한 금액이다.
상장 리츠도 증가하고 있다. 2019년에 상장된 리츠업체는 10월 30일에 상장한 롯데리츠와 12월 5일에 상장한 NH프라임리츠 2곳이었고 현재 총 7개의 리츠 업체가 시장에 상장돼있다.
리츠는 투자자에게 수익을 배당 형식으로 배분하는데 배당 수익률이 10%를 초과한 업체는 15곳이었으며 이 중 20%를 초과하는 업체도 3곳인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5% 미만의 수익률을 기록한 업체는 31곳이며 수익률이 0%인 업체도 99곳으로 조사됐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규제로 인해 부동산 직접 투자가 어려워져 투자 진입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고 세제혜택과 꾸준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리츠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리츠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오고 있지만, 현재 상장된 리츠회사는 7곳뿐이며, 배당이 나오는 회사도 소수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리츠에 투자하기 전 리츠를 운용하는 투자회사가 안전성과 전문성을 담보한 곳인지 확인하고, 임대 수익은 물론 향후 매각 때 투자 수익까지 따져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현대백화점, 글로벌 패션 브랜드 ‘에이프’ 독점 판권 계약
- [속보] 삼성전자 "향후 5년간 6만명 신규 채용"
- 핌즈, 물류센터 특화 물류로봇 솔루션 개발 ‘물류로봇연구소’ 개소
- '3000억원 횡령' 박삼구 前금호 회장, 2심서 집행유예 감형
-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 아들 상대 1만주 반환 추가소송
- GC녹십자, ‘지씨플루’ 누적 생산량 4억 도즈 돌파
- "버스·지하철 이어 한강버스까지"…카카오맵, 초정밀 한강버스 정보 제공
- HL클레무브-자동차硏, 미래모빌리티 산업 기술 협력 MOU 체결
- 동국제약, 잇몸건강치약 ‘윈플렉스 선물세트’ 프로모션 진행
- 짐빔, 캐딜락 포뮬러 1팀과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원주시청 공무원노동조합, 관내 사과 농가 응원차 조합원 사과 구입 이벤트 실시
- 2“실전처럼 즉각 대응” 강원랜드, 지진·화재 대비 복합재난 훈련 실시
- 3남원경찰서, 아동 유괴·납치 예방 총력…등하굣길 집중 관리
- 4장수군의회, 5분 자유발언서 생활·농업·복지·환경 해법 제시
- 5장수한우랑사과랑축제, 저탄소 한우 시식·구매 특별 행사 마련
- 6현대백화점, 글로벌 패션 브랜드 ‘에이프’ 독점 판권 계약
- 7삼성전자 "향후 5년간 6만명 신규 채용"
- 8핌즈, 물류센터 특화 물류로봇 솔루션 개발 ‘물류로봇연구소’ 개소
- 9장수 레드푸드레이스, 오미자·토마토·사과 테마 러닝 축제
- 10남원시의회 예결위, 추경 심사…예산 우선순위 철저 검증 예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