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 여파…추가 금리인하 가능성↑

[앵커]
최근 브라질과 필리핀 등에서 금리인하가 단행됐죠. 신종코로나 때문만이라고 볼 순 없지만, 이번 사태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인데요. 우리도 금리인하 가능성이 나오고 있죠. 이아라기자가 레포트로 준비했습니다. 함께 보시고 이어가겠습니다.
[기자]
한국은행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3%. KB증권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4~5월 내 진정 시 0.15%포인트, 7~8월까지 지속 시 0.2%포인트까지 경제성장률이 내려앉을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한은은 사스와 메르스 발생 때도 금리인하로 경기 둔화 대응에 나섰습니다.
2003년 4월 국내 첫 사스 환자가 발생한 바로 다음 달 기준금리를 연 4.25%에서 4.00%로 인하했습니다.
당시 한은은 “사스 확산이 연간 경제성장률을 0.3포인트가량 낮추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추정하며 기준금리 인하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2015년 5월 메르스 발생 당시에도 한은은 국내에서 첫 환자가 발생한 다음 달인 6월,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1.50%로 내렸습니다.
당시 통화정책결정문에는 “국내 경제는 메르스 사태의 영향 등으로 성장경로의 하방 위험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특히 중국이 2003년 사스 당시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 수준이었지만, 현재는 16%까지 증가했다는 점도 어두운 전망에 무게를 싣습니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예상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3%에서 2.2%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JP모건은 “중국의 산업 생산 중단으로 한국의 수출과 생산이 동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특히 “자동차 관련 업종의 경우 생산 차질을 겪는 핵심 제조업 분야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은행은 오는 2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시장은 한은의 금리인하를 기대하는 모습입니다.
지난달 23일 연 1.42%였던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어제(10일) 연 1.269%로 떨어졌습니다.
연 1.25%인 기준금리와의 차이는 0.019%포인트로 좁혀졌습니다.
투자자들이 금리인하를 예상하고 안전자산인 국고채에 몰리는 겁니다.
서울경제TV 이아라입니다. /ara@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정식품, ‘간단요리사 29역숏폼왕’ 영상 공모전 개최
- CJ제일제당, 사료 자회사 매각…1조2000억 원 안팎 확보
- KT, 국제전화 구독형 서비스 ‘001글로벌Free' 출시
- LS일렉트릭, 데이터센터용 전략 제품 공개…북미·아세안 사업 확장
- LG이노텍, 베트남서 '옵텍콘' 개최··· "R&D 인재 확보"
- 하반기 대형 LNG 프로젝트 가시화…韓 조선업계 기대감↑
- D램 가격, 6개월 연속 상승… 범용 DDR4 6달러 돌파
- 중기부, 지역 주도 AI 전환 사업에 경남·대구 등 선정
- LG화학, 유럽 'K2025' 참가…"혁신소재로 글로벌 공략"
- 삼성전자, 'AI 구독 페스타' 진행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정식품, ‘간단요리사 29역숏폼왕’ 영상 공모전 개최
- 2CJ제일제당, 사료 자회사 매각…1조2000억 원 안팎 확보
- 3KT, 국제전화 구독형 서비스 ‘001글로벌Free' 출시
- 4LS일렉트릭, 데이터센터용 전략 제품 공개…북미·아세안 사업 확장
- 5LG이노텍, 베트남서 '옵텍콘' 개최··· "R&D 인재 확보"
- 6LG디스플레이, 3분기 흑자전환 전망…목표가↑-IBK
- 7하반기 대형 LNG 프로젝트 가시화…韓 조선업계 기대감↑
- 8신한카드, '더베스트엑스오' 출시…더베스트엑스 업그레이드
- 9D램 가격, 6개월 연속 상승… 범용 DDR4 6달러 돌파
- 10중기부, 지역 주도 AI 전환 사업에 경남·대구 등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