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세계 자동차 공장 10개 중 7개 '셧다운'

[서울경제TV=정새미 기자]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약 71% 공장이 셧다운된 것으로 확인됐다. 가동비율은 29%에 그쳤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지난 16일 공장가동 현황을 조사한 결과 가동비율이 29.0%로 확인됐다고 23일 밝혔다.
미국, 중국, 유럽 등 주요 14개국 중 GM이 8개국에 보유한 총38개 공장중 34개 공장이 중단되어 가동중단 비율89.5%로 나타났다. 다임러벤츠가 10개국에 보유한 총27개 공장중 24개 공장이 중단되어 가동중단 비율 88.9%에 그쳤다. 이어 FCA 85.7%, 르노 85.0%, 포드 82.8%, BMW 81.2%, PSA 76.0%, 혼다 68.2%, 폭스바겐 61.5%, 닛산 60.7%, 테슬라 50%, 도요타 46.3%, 현대/기아 35.3% 등으로 나타났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등 한국 공장가동 중단비율은 35.3%로 세계 주요 메이커들에 비해 가장 높은 공장가동 비율이다, GM, 포드 등 미국계, 르노, 다임러 등 유럽계 메이커들의 공장은 코로나19의 큰 영향을 받아 대체적으로 공장가동비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총 13개 메이커의 300개 공장중 213개 공장의 가동이 중단된 상태로 전체적으로는 29.0%의 가동비율을 보였다.
이에 자동차산업 주요 국가는 이러한 생산 공장 가동 중단사태 등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지원정책도 실시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주요 9개 도시에서 차량 구입시 추가 보조금 지급, 신에너지차(NEV) 구매보조금 및 취득세 면제 정책 2년 연장을 진행 중이다. 또한 영국은 자동차 쇼룸, 중고차 주차장, 주유소, 렌트카업체 등 1년간 사업세(business rates) 납부면제 및 중소 기업에 최대 25,000파운드(약U$31,000)의 현금지급 등 지원정책을 통해 자국 자동차산업의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요인에 의한 공장가동 중단은 거의 발생되지 않고 있으나, 앞으로 해외요인에 의하여 공장가동 중단이나 판매 급감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라며 "향후 기존 대출한도 유지나 신규 대출확대 등을 통한 33조 규모의 기업차입 지원, 각종 세금 및 공과금 납부유예, 고용유지 지원금 확대 등을 통해 우리 기업들이 위기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도록 정부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 ja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풀무원USA, 지구의 달 맞아 '식물성 지향 식품 캠페인' 전개
- 소병훈, '신탁전월세 안심계약법' 대표 발의
- 사법당국 이어 금융당국도 MBK 옥죄기…금감원, MBK 산하 투자자문사 검사 착수
- 리브랜딩 2년 이니스프리…‘제주’ 뗐더니 실적 뚝
- ‘추가비용 나몰라라’…SI업계, 공공기관 소송 증가
- ‘압·여·목·성’ 토허제 1년 더 연장…‘풍선 효과’ 확산 우려
- 트럼프발 관세 충격…현대차·기아 “가격 안올린다”
- 탄핵 선고 하루 앞둔 네카오…“트래픽 폭주, 전면 대응”
- 윌라, 현대백화점서 ‘리스닝 라이브러리’ 체험 공간 공개
- 에스토니아 비즈니스 허브, 친환경 에너지 사절단 방한 행사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