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제약업계 ‘지속가능경영’ 1위 기업 선정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한미약품(대표이사 우종수·권세창)이 국내 제약기업 중 가장 우수한 지속가능경영을 실행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한국표준협회는 16일 ‘2020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지수(Korean Sustainability Index, 이하 KSI)를 발표하고, 한미약품을 제약기업 부문 1위, 종합 부문 6위 기업으로 선정했다.
지속가능성지수(KSI)란 사회적 책임 국제표준인 ’ISO26000‘을 기반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측정하는 모델이다. 소비자, 환경, 미래가치 등 80여개 중요 항목에서 동종업계 내 상대적 평가와 함께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경영활동의 개선 및 관리를 평가하는 지표다. 학계, 시민단체, 공공부문 등에서 선발된 전문가 9명으로 구성된 심의위원회는 매출액 등을 고려해 선정한 제약, 철강, 상사 등 47개 업종 201개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지난 10개월 간 심사를 진행했다.
KSI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각각 40개 항목으로 나눈 ’트렌드 부문‘(이해관계자간 이슈)과 ’임팩트 부문‘(ISO26000 7대 핵심주제)에서 기업의 현황을 평가해 지수화한다.
심사 결과, 한미약품의 지속가능성은 59.65점으로, 제약업계 최고점과 종합 부문 6위를 받았다. 제약업계 지수 평균은 56.05, 종합 부문 평균은 52.99점 이었다. 한미약품은 지역사회를 비롯한 협력사와의 상생, 고객만족, 지속가능한 경영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특히 트렌드 부문에서는 ‘고객과 협력사와의 상생’ 항목에서, 임팩트 부문에서는 ‘소비자 대응 및 지역사회 발전영역’에서의 평가가 두드러졌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한미약품은 전체 매출 중 R&D를 통한 자체 개발 전문의약품 비중이 90%대에 달하고, 매년 약 2‘000억원의 금액을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R&D에 투자하는 등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은 물론, 지속가능한 성장의 발판이 되는 흔들림 없는 투자 활동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미약품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 주관으로 비재무적 영역에 대한 지속가능경영시스템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인 ESG등급에서 통합 ‘A’등급을 받기도 했다.
우종수 한미약품 대표이사는 “한미약품은 창립 이후부터 단기적 성과 창출 보다는, 미래 인류의 삶에 한미약품이 기여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꾸준히 개척하면서 혁신을 창출해 왔다”면서 “앞으로도 지속가능경영 활동의 모범 기업으로 지속해 나갈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가지고 모든 경영활동에 나서겠다”고 말했다./jjss123456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씨엑스아이 "앤서가든 중국 총판 계약 체결"
- 아우딘퓨쳐스 네오젠, 美 뉴욕 타임스퀘어 행사서 제품 전량 완판
- 포커스에이아이, '스테이블코인 결제 솔루션' 상용화 추진
- 차이커뮤니케이션, 글로벌 뷰티 브랜드 '플라워노즈' 팝업 오픈
- 신한라이프, 고객 경험 중심 ‘신한SOL라이프’ 앱 개선
- 한투운용, 연금 투자 가이드북 개정판 발간…"연금 투자 변화 반영"
- 한화투자증권, MTS 고객 대상 ‘가을 야구 응원 이벤트’ 실시
- KCGI운용, '목표전환형채권혼합4호' 모집
- 하나금융그룹, 100조원 '하나 모두 성장 프로젝트' 시행…생산적 금융 전환 본격화
- KB국민은행, 'K-콘텐츠기업 성장 지원' 1000억 보증서 대출 지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광해광업공단, 스마트마이닝 기술세미나 개최
- 2마리아병원-KB국민은행, '난임 치료 지원' 위한 MOU 체결
- 3춘천시 “도청사 교통영향평가 정당한 절차… 3자 실무협의체 구성 제안”
- 4씨엑스아이 "앤서가든 중국 총판 계약 체결"
- 5아우딘퓨쳐스 네오젠, 美 뉴욕 타임스퀘어 행사서 제품 전량 완판
- 6포커스에이아이, '스테이블코인 결제 솔루션' 상용화 추진
- 7차이커뮤니케이션, 글로벌 뷰티 브랜드 '플라워노즈' 팝업 오픈
- 8원주시, 강원특별자치도청·청량리역서 만두트럭 운영
- 9민주노총 인천본부, 인천공항공사 파업 장기화에 “책임 다하라”
- 10양재살롱위크, 무브컬쳐와 양재천길을 ‘취향의 거리’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