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수주 랠리' 퇴색…후판값 타격

[앵커] 잇따른 수주낭보에도 조선업계의 2분기 실적에 먹구름이 꼈습니다. 후판값 상승으로 인한 비용 증가에 발목이 잡힌 건데요. 실적부진은 하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입니다. 보도에 정새미 기자입니다.
[서울경제TV=정새미 기자]
한국조선해양이 2분기 연결기준 8,973억원의 영업손실로 적자 전환했다고 오늘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3% 줄어든 3조7,973억원, 당기순손실은 7,221억원입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다음 달 실적 발표가 예정된 삼성중공업이 약 1,100억원, 대우조선해양도 약 180억원 규모의 적자를 낼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3사 모두 지난해 2분기 대비 적자 전환입니다.
조선업계의 수익상 악화 원인으로는 원자재인 후판값 상승이 꼽힙니다.
후판은 선박을 건조하는 데 쓰이는 두께 6㎜ 이상의 두꺼운 철판으로 전체 선박 제작 비용의 20%를 차지합니다.
올 상반기 평균 후판값은 톤당 72만원.
지난해보다 약 12만원 높아졌습니다.
여기에 철강업계는 하반기 후판 공급가를 톤당 115만 원으로 작년의 2배에 가까운 가격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김영훈 / 경남대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교수
“전에 (후판값 인상) 감안하지 않고 가격을 매겨서 정했기 때문에 강재 가격이 올라가는 것을 예상 못했고 자체 물량도 굉장히 적었고 올해는 건조량이 적어서 경영수지와 영업수지가 마이너스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조선업계의 부진은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입니다.
이에 대우조선해양은 내년부터, 삼성중공업은 2023년부터 흑자전환을 목표로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서울경제TV 정새미입니다. / jam@sedaily.com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SK렌터카, 국내 최대 ‘오토옥션’ 개장…“중고차 판매사업 진출”
- ‘흑자 전환’ 동부건설, 공공·민간 수주 광폭 행보
- 게임업계, 스테이블코인 경쟁…사업화 ‘불투명’
- 한국콜마, 美 2공장 가동..."북미 최대 화장품 허브로 성장"
- 이재용 ‘부당합병·회계부정’ 무죄 확정…사법리스크 마침표
- 태광산업, 신사업 투자·이호진 복귀 ‘시계 제로’
- “농기계 스스로 일해요”…대동, 농업 3대 AI기술 개발
- 신세계그룹-카카오페이 사업 협력 논의 중단
- 미리어드아이피, 오시리스와 업무협약…"K브랜드 위조 상품 차단"
- 혜움, PG사 연동 완료…"매출 분석 기능 고도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인천시의회, 대학생 인턴십 본격 시작
- 2인천시교육청, 부평공고 도제학교 '전국 최고' 입증
- 3의정부시 가능동, 건축심의 비리 논란…현장서 갈등 표출
- 4양평군, '장례'도 품격 있게…"주민과 함께 만든다"
- 5SK렌터카, 국내 최대 ‘오토옥션’ 개장…“중고차 판매사업 진출”
- 6‘흑자 전환’ 동부건설, 공공·민간 수주 광폭 행보
- 7게임업계, 스테이블코인 경쟁…사업화 ‘불투명’
- 8한국콜마, 美 2공장 가동..."북미 최대 화장품 허브로 성장"
- 9이재용 ‘부당합병·회계부정’ 무죄 확정…사법리스크 마침표
- 10'해양금융 강화' BNK금융 vs '전국구 도약' iM금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