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침체 속 '깡통전세' 우려↑

[앵커]
최근 집값이 약세를 보이면서 전셋값이 매매가격보다 비싼 ‘깡통전세’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방을 넘어 수도권 외곽서도 이런 사례가 나타나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서청석기자입니다.
[기자]
강남불패로 불리던 강남마저 집값이 흔들리는 하락장 속에서 깡통 전세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전세가율은 66.3%로 집계됐습니다.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 지방은 75.4%로 평균 보다 높았고, 서울, 경기, 인천 등은 각각 54.7%, 65.4%, 66.1%를 기록했습니다.
부동산 업계에선 일반적으로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서면 깡통전세의 위험성이 크다고 해석합니다. 이 경우 집값이 떨어지면 세입자는 전세 계약이 끝난뒤 전세보증금을 떼이거나 제때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이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임대차법으로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깡통전세 우려가 커진겁니다. 평균 전세가율은 80% 이하지만, 이미 지방 저가 아파트에서는 전셋값이 매매가격을 추월한 거래가 속속 나타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방에서 깡통전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비교적 전세가율이 높은 수도권에서도 특히 소형 평수에서 전셋값이 매매가격보다 비싼 거래가 속속 나타나고 있습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6월 주택의 평균 전셋값이 평균 매매가격을 추월한 사례는 2,243건로 조사됐습니다. 지방에서 1,714건(76.4%)로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수도권도 529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인터뷰]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매매가 거래가 안되잖아요. 그럼 전월세 시장에 있을 수밖에 없는 건데 거기서 초과수요가 발생해요. 그러다 보면 전세가율이 높아지는 현상들이 발행하는 거고요."
깡통전세 현상이 당장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집값 하락세가 계속되면 세입자가 보증금을 떼이는 피해 사례가 급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형·저가 아파트 위주로 ‘깡통전세’ 확산이 시작된 만큼,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장치를 선제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서울경제TV 서청석입니다./blue@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키워드 :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돈키호테' 서울 상륙...GS25 팝업스토어 오픈런
- 게임업계, 보안 예산 ‘인색’…“매출 1%도 안 써”
- 넥센 오너家 세금 없이 570억 확보…상속세 대비 포석?
- 본업 정상화 시급한데…형지글로벌 ‘코인’ 승부수
- 현대엔지니어링, 플랜트 사업 확대…재도약 기반 마련
- “갤럭시 출시·단통법 폐지”…통신사, 점유율 확대 ‘총력’
-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들 “환경오염 더는 못 참아”...영풍 석포제련소에 손배소
- 결혼정보회사 지노블, '프리미엄 매칭 서비스' 선봬
- 대한항공, 2분기 영업익 3990억 원…전년 동기 比 3.5% 감소
- 중기중앙회, 2026년 적용 최저임금 결정에 "깊은 유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자원봉사센터, 제5회 남원시자원봉사박람회 개최
- 2'돈키호테' 서울 상륙...GS25 팝업스토어 오픈런
- 3펫보험, 치열해지는 주도권 다툼…1강 구도 흔들리나
- 4나홀로 후진했던 BNK금융…실적 반등 노린다
- 5게임업계, 보안 예산 ‘인색’…“매출 1%도 안 써”
- 6넥센 오너家 세금 없이 570억 확보…상속세 대비 포석?
- 7본업 정상화 시급한데…형지글로벌 ‘코인’ 승부수
- 8현대엔지니어링, 플랜트 사업 확대…재도약 기반 마련
- 9“갤럭시 출시·단통법 폐지”…통신사, 점유율 확대 ‘총력’
- 10양산시, '하반기 공공근로·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참여자 모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