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스텝' 기정사실…"관건은 최종금리, 지속 여부 "
美 ‘인플레 정점론’ 힘 실려…“최악은 지났다”
미국 11월 CPI 7.1%로 시장 예상치 하회
美 내일 새벽 금리인상 결과…0.50%p 유력
'금리 어디까지 올려, 얼마나 끌고 갈까' 관건
파월, 물가 인상 억제와 경기 침체 예방서 고민

[앵커]
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두달째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에, 금리 인상 속도 조절론에 힘이 실리고 있는데요. 관건은 미국의 최종 금리 수준입니다. 앵커리포트입니다.
[기자]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에 비해 7.1% 올랐습니다.
이는 지난해 12월(7.0%)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시장의 예상치(7.3%)를 밑돌았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최악을 벗어나고 있다는 ‘인플레 정점론’에 힘이 실리고 있는 겁니다.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회의를 시작한 연준(연방준비제도)은 우리 시각 내일(15일) 새벽 기준금리 인상폭을 결정합니다.
시장에서는 0.50%p 인상, 빅스텝이 유력시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3.75~4.0%에서 4.25~4.5%로 올라갑니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미국의 최종 금리 수준에 쏠립니다.
연준이 ‘금리를 어디까지 올려, 얼마나 오래 고금리를 끌고 갈 것이냐’가 관건입니다.
증권가에서는 내년 초 5% 정도의 수준에서 금리 인상을 멈추더라도 내년 말까지 금리 인하로 전환되긴 쉽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유미/키움증권 연구원
“금리인상 속도는 조절하지만, 최종 금리 레벨은 높지 않을까 보고 있어요. 최종금리 수준 5.25%까지는 열어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는건 맞지만, 노동시장이나 이런 부분들이 여전히 양호하고 임금 상승 부분에 대한 경계감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결국, 내일 새벽 있을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과 금리 전망을 담은 점도표에 더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입니다.
과연, 파월 의장이 물가와 경기 침체 중 어디에 방점을 찍을지에 관심이 쏠립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공정위 "가전 무료? 소비자 기만"…웅진·보람·교원·대명 4개 상조 제재
- 증권사 RP 보유량 100조 육박 '역대 최대'…단기 자금 파킹 수요↑
- 코스피 거래대금 전주 대비 20% 감소…세제 개편안 실망감
- 상반기 배당소득 흑자 역대 최대…1년 새 88%↑
- 기재부서 예산기능 떼고 금융위 해체?…경제부처 개편안 13일 발표
- 보험사 교육세 인상 여부 촉각…"세율·과표구간 조정 필요"
- 5대은행 가계대출 1주만에 2조 증가…신용대출에 1조 몰려
- 美연준 보먼 "연내 3회 금리인하 해야"
- 저축은행, 'PF 5차 펀드' 조성…하반기 부실자산 1조 추가 정리
- 의무보호예수 물량 쏟아진다…'투자주의보'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장성군, 80주년 광복절 기념 '무궁화 장성대축제' 마무리…2000여 명 몰려
- 2공정위 "가전 무료? 소비자 기만"…웅진·보람·교원·대명 4개 상조 제재
- 3현대차그룹, 상반기 영업익 폭스바겐 제치고 글로벌 '톱2' 올라
- 4사망사고 줄잇는 포스코이앤씨, 신용등급 악화 우려…회사채 거래 '뚝'
- 5증권사 RP 보유량 100조 육박 '역대 최대'…단기 자금 파킹 수요↑
- 6영천시, 2025년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취득과정 교육생 모집
- 7APEC 개최도시 경주, 세계 유일 고분 콘서트 ‘봉황대 뮤직스퀘어’ 8월 밤하늘을 수놓는다
- 8APEC 개최도시 경주, 광복 80주년 맞아 태극기 물결로 물든다
- 9코스피 거래대금 전주 대비 20% 감소…세제 개편안 실망감
- 10경주시, 소상공인 매출 68% 증가..."소비쿠폰 효과 뚜렷”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