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스텝' 기정사실…"관건은 최종금리, 지속 여부 "
美 ‘인플레 정점론’ 힘 실려…“최악은 지났다”
미국 11월 CPI 7.1%로 시장 예상치 하회
美 내일 새벽 금리인상 결과…0.50%p 유력
'금리 어디까지 올려, 얼마나 끌고 갈까' 관건
파월, 물가 인상 억제와 경기 침체 예방서 고민

[앵커]
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두달째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에, 금리 인상 속도 조절론에 힘이 실리고 있는데요. 관건은 미국의 최종 금리 수준입니다. 앵커리포트입니다.
[기자]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에 비해 7.1% 올랐습니다.
이는 지난해 12월(7.0%)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시장의 예상치(7.3%)를 밑돌았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최악을 벗어나고 있다는 ‘인플레 정점론’에 힘이 실리고 있는 겁니다.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회의를 시작한 연준(연방준비제도)은 우리 시각 내일(15일) 새벽 기준금리 인상폭을 결정합니다.
시장에서는 0.50%p 인상, 빅스텝이 유력시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3.75~4.0%에서 4.25~4.5%로 올라갑니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미국의 최종 금리 수준에 쏠립니다.
연준이 ‘금리를 어디까지 올려, 얼마나 오래 고금리를 끌고 갈 것이냐’가 관건입니다.
증권가에서는 내년 초 5% 정도의 수준에서 금리 인상을 멈추더라도 내년 말까지 금리 인하로 전환되긴 쉽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유미/키움증권 연구원
“금리인상 속도는 조절하지만, 최종 금리 레벨은 높지 않을까 보고 있어요. 최종금리 수준 5.25%까지는 열어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는건 맞지만, 노동시장이나 이런 부분들이 여전히 양호하고 임금 상승 부분에 대한 경계감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결국, 내일 새벽 있을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과 금리 전망을 담은 점도표에 더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입니다.
과연, 파월 의장이 물가와 경기 침체 중 어디에 방점을 찍을지에 관심이 쏠립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엔비디아, 주가 4일째 상승 마감…시총 4조 달러 돌파
- 국내 증시 '시총 3000조' 시대 열었다…추가 상승에 무게
- 펫보험, 치열해지는 주도권 다툼…1강 구도 흔들리나
- 나홀로 후진했던 BNK금융…실적 반등 노린다
- KB국민銀 '소상공인 One-Stop 컨설팅센터’ 운영
- 우리자산신탁 "신탁 방식 도입 민간 정비 사업 확대"
- 은행연합회, 육군 장병 위문금 전달
- 수출입銀 최초 내부 출신 윤희성 행장 이달 퇴임
- 에스오에스랩, 자율주행 전시회 'AME 2025'서 주요 제품 소개
- KS인더스트리 대주주는 동네 학원? 성안에선 'CB 플레이' 논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의성군 사곡면 명예면장 김웅연 대표, 고향 어르신 위한 사랑의 쌀 기탁
- 2경북 로컬 체인지업, 지역 잇고 사람을 엮다
- 3경북도, 역대 최대인 3조 6천억원 규모 5개 노선 국도·국지도 승격
- 4유클리드소프트, 일경험 사업 통해 청년 언론인 지원
- 5김해공항 국제선 활기…"中 노선 회복·LCC 수요 증가 영향"
- 6엔비디아, 주가 4일째 상승 마감…시총 4조 달러 돌파
- 7내주 5322가구 분양…"전국서 다양한 물량 공급"
- 8“재미와 의미 모두 잡는다”…엠제코 공략 나선 유통업계
- 9국내 증시 '시총 3000조' 시대 열었다…추가 상승에 무게
- 10공유문화 확산·신차 가격부담…2030 "새 차 안사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