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화인텍, LNG 운반선 ‘초저온 보냉재 설비’ 증설…수주 호황 대응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동성케미컬의 LNG 보냉재 전문기업 동성화인텍이 총 250억 원을 들여 LNG 운반선 초저온 보냉재 생산을 대폭 늘린다.
동성화인텍은 안성공장 내 LNG 운반선 초저온 보냉재 생산 설비 증설에 올해 초 60억 원을 투입한 데 이어 190억 원을 추가 투자하기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동성화인텍은 지난해부터 연이은 대규모 수주로 약 4년 치 일감에 해당하는 2조 원 규모의 수주잔고를 보유하고 있다.
동성화인텍은 LNG 운반선 시장 호황에 따른 고객의 초저온 보냉재 생산 확대 니즈에 부응하기 위해 이번 추가 증설을 결정했다. 최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브릿지 연료로 LNG 사용량이 증가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LNG 해상 물동량이 확대되면서 LNG 운반선 발주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LNG를 액체 상태로 유지, 보관하는 데 필수적인 초저온 보냉재 수요 또한 늘고 있다.
이번 증설이 완료되면 동성화인텍은 174,000-CBM급 LNG 운반선 기준 연 30척 수준의 초저온 보냉재 생산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는 지난 2022년 생산능력 대비 50% 확대된 규모다. 동성화인텍은 내년 하반기 추가 생산 설비의 본격 가동을 목표하고 있다.
동성화인텍 관계자는 “자체 보유자금으로 생산 설비 증설과 함께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생산 능력 확대는 물론 원가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현재 주력 제품인 Mark-III 타입 초저온 보냉재 외에 신규 타입 보냉재 생산 라인의 추가 증설도 지속적으로 검토해 추가 고객과 시장의 니즈에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동성화인텍은 LNG 운반선 초저온 보냉재뿐 아니라 액화이산화탄소 화물탱크, 액화수소탱크 단열재 개발과 LNG 추진선 연료탱크에 대한 설계, 해석, 제작까지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며 국내 조선산업의 친환경 패러다임 전환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말레이 총리 "미얀마 휴전 연장할 듯…아세안, 인도적 지원"
- 젤렌스키, 8월 5일께 日 오사카엑스포 방문 검토
- 트럼프·시진핑 사이 동남아…'양자택일' 현실화
- 24시간에 종전 가능?…트럼프, 우크라 종전협상 '나몰라라' 논란
- 백악관,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위적 제조' 홈페이지 게재
- 로이터 "테슬라 저가 모델 출시 최소 3개월 지연"
-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 이상민, 밤샘 조사 후 귀가
- 美 투자매체 시킹알파 "SK텔레콤, AI 성장잠재력 높아"
- 외교2차관, 프랑스 대외무역 특임장관과 美관세 대응 의견교환
- 다음주 美와 통상 협상 시작…최상목 부총리·안덕근 산업부 장관 등 방미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말레이 총리 "미얀마 휴전 연장할 듯…아세안, 인도적 지원"
- 2장흥군, 5월 2~5일 정남진 장흥 키조개축제 개최
- 3젤렌스키, 8월 5일께 日 오사카엑스포 방문 검토
- 4트럼프·시진핑 사이 동남아…'양자택일' 현실화
- 5고흥군, 소상공인 경영안정 위한 이자차액 보전금 지원
- 624시간에 종전 가능?…트럼프, 우크라 종전협상 '나몰라라' 논란
- 7백악관,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위적 제조' 홈페이지 게재
- 8목포시, 공직자 부패 방지 청렴교육
- 9로이터 "테슬라 저가 모델 출시 최소 3개월 지연"
- 10'언론사 단전·단수 의혹' 이상민, 밤샘 조사 후 귀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