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새 화장품 규제 적용 코앞…높아진 진입장벽
美 화장품 규제 MoCRA, 내달 1일 시행
‘기업 자율→FDA 승인’으로 화장품 규제 강화
제조시설·제품 등록조항 포함…”안전성 보장 목적”
LG생건·아모레퍼시픽 등 대형사들은 준비 완료
미국 내 화장품 제조·판매에 진입장벽으로 작용

[앵커]
미국에서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이 내달 1일부터 시행됩니다. 미국에 진출하는 화장품 기업들에 대한 미 식품의약국(FDA)의 관리가 강화되는 만큼, 국내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이혜란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에서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 일명 모크라가 다음 달 1일부터 시행됩니다.
미국에 화장품을 수출하는 데 직접적인 규제가 없었는데, 모크라를 시행하면서 미 식품의약국, FDA의 승인을 받지 않은 화장품은 미국에서 판매할 수 없게 된 겁니다. 그동안은 선크림처럼 의약품으로 분류된 제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의 경우 안전 보장을 기업들의 자율에 맡겨왔습니다.
내달부터 적용되는 모크라의 핵심 조항은 제조 및 가공 시설 등록, 제품 등록, 안전성 입증, 라벨 문구 규제 등입니다.
이미 미국에 진출한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그리고 미국에 제품을 판매하는 고객사를 둔 한국콜마, 코스맥스도 확인 결과 모두 모크라에 대응을 마친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미국에서 최근 3년간 화장품 연평균 총매출액이 100만 달러 미만인 중소기업은 모크라에서 제품·시설 등록 조항을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마존 같은 미국 유통업체에서 FDA 승인을 받았다는 제품 등록 번호를 요구할 가능성이 크고, 이미 승인을 거쳐 등록을 마쳤더라도 1~2년 주기로 갱신이 필요해 미국 뷰티 시장의 진입장벽은 높아졌다는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모크라의 등장으로 미국 화장품 시장은 큰 변화가 예상되는 상황.
준비된 기업엔 기회가, 그렇지 못한 기업엔 어려움이 닥칠 것으로 예측됩니다.
북미에 진출하는 한국 뷰티 기업들이 한층 높아진 진입장벽에 어떻게 대응할지 주목됩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BMW 코리아, 노후차량 교체 고객에 30만 BMW 코인 지급
- 웨이비스, 고출력 GaN RF 반도체 파운드리 수주
- 펩시코, 신제품 ‘펩시 제로슈거 모히토향’ 국내 출시
- 디에스솔루션즈, 면세점 선정산 서비스 도입…"비타페이 경쟁력 강화"
- ‘도착 보장’ 네이버배송, 도입 2년 만에 거래액·주문건수 3배↑
- 투썸플레이스, ‘슈퍼투썸데이’ 진행…"고객 접점 확대"
- 포르쉐코리아, ‘딜러 매니지먼트 컨퍼런스’ 개최…"전동화 비전 공유"
- 효성벤처스, 디토닉·창업인에 올해 첫 투자 단행
- 이스타항공, ‘두산베어스’와 공동 마케팅…“2030 야구팬 공략”
- 하이트진로, ‘켈리 X 라마다 호텔’ 협업 진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