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B2B 체질 개선…맞춤형 솔루션 키운다
경제·산업
입력 2024-11-20 18:15:48
수정 2024-11-20 18:15:48
김혜영 기자
0개

[앵커]
LG전자가 기업간거래 B2B 중심의 사업체질 전환에 나섰죠. 단품 공급뿐 아니라 다양한 솔루션을 더하는 고부가 사업으로 확장을 꾀하고 있는데요. 이음5G 기술을 통한 맞춤형 네트워크 솔루션을 통해 시너지를 낸다는 방침입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LG전자의 자율주행 수직 다관절 로봇.
생산라인을 스스로 이동하고 부품 운반은 물론 제품 조립, 불량 검사를 진행합니다.
LG전자의 이음5G 기술을 통해 주변기기와 끊임없이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원활한 작업을 수행하는 겁니다.
이음5G는 정부가 통신3사의 독과점 방지를 위해 비통신사에 개방한 ‘5G' 특화망입니다.
상용망이 아닌 전용 주파수를 사용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성과 보안성을 자랑합니다.
특정 공간에 제공하는 맞춤형 5G네트워크인 만큼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 등 첨단 산업 발전의 토대로 꼽히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실제와 똑같은 가상 공장을 만드는 ‘디지털 트윈’에도 활용합니다.
맞춤형 네트워크를 통해 공장의 생산과 물류 흐름을 미리 살펴 공장이 최적의 효율을 내도록 설계합니다.
CCTV 데이터를 받아 보거나 원격으로 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생산 라인 병목 등도 미리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LG전자는 이음5G 네트워크 솔루션 사업 확장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5G 통신 관련 특허 3만여건.
최근 코레일과 손잡고 서울역을 시작으로 철도 시설물에 이음5G 솔루션 실증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B2B 기업으로 체질 개선에 나선LG전자.
새 먹거리로 스마트팩토리를 낙점하고 2030년 조 단위 매출을 올리겠다는 포부인데, 이음5G 기술을 통한 맞춤형 네트워크 솔루션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HBM 날개 단 SK하이닉스, 영업익 9조 시대 열었다
- 정치권, 자사주 소각 제도화…한진·LS 동맹 흔들리나
- SKT, 신규 가입 중단…“유심 해킹 공포 과도”
- 이통3사, 너도 나도 AI…‘속 빈 강정 될라’
- 中 샤오미 저가폰 들고 국내 상륙…삼성 “고급화로 맞선다”
- AI 기본법 제정…"AI 강국 도약 기틀 마련"
- “기업경영 존폐위기”…재계, 상법개정 ‘노심초사’
- KT, ‘AICT 전환’ 속도…이통3사, AI 사업 집중
- 유상임 장관, 통신3사 CEO 회동…“통신비 낮춰야”
- 구광모號 6년, 'ABC' 성장 궤도...과감한 리더십 빛난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소비쿠폰 닷새 만에 신청률 72%…6.5조 원 지급
- 2장수군, 장계·계남 공공임대주택 사업 본격화…2028년 준공 목표
- 3순창군, '민원처리 알림톡' 서비스 도입…군민 소통 더 빠르게
- 4임실군-영동군, 고향사랑기부로 자매결연 도시 간 '우애' 재확인
- 5장수군, 여름 휴가철 맞이 '국토대청결운동' 실시
- 6김건희 특검, 함성득 조사…‘공천 개입 의혹’ 관련
- 7우리 이야기의 주인공은 당연히 지금, 우리다
- 8메타, 오픈AI 출신 자오셩자 수석과학자로 임명…“초지능 AI 이끈다”
- 9尹 비상계엄 손해배상 판결, 광주 재판에 영향 주나
- 10상반기 선박 매매시장 주춤…“보수적 매입 전략 필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