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1분기 영업적자 전년 대비 5배 악화…해결방안 ‘막막’
경제·산업
입력 2025-05-18 10:52:33
수정 2025-05-18 10:53:50
이혜란 기자
0개
별도기준 1분기 매출 1714억, 전년동기 대비 41% 감소
연결기준 3년째 '영업손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영풍의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5718억 원으로, 전년 동기(7414억 원) 대비 22.9% 감소했다. 별도 기준 매출은 1714억 원으로 전년 동기(2918억 원) 대비 41.3% 급감했다.
영업이익도 크게 악화됐다.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은 56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손실이 30.3% 늘었다. 별도 기준 영업손실도 506억 원으로, 전년 동기 101억 원보다 약 5배 확대됐다. 연결 기준으로는 3년 연속 영업손실이 이어지고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석포제련소의 조업 정지가 꼽힌다. 석포제련소는 물환경보전법 위반으로 지난 2월 26일부터 4월 24일까지 58일간 조업정지 행정처분을 받았으며, 이에 따라 1분기 가동률은 전년 동기 64.7%에서 31.3%로 33.4%포인트 하락했다.
또한 제련 사업의 포트폴리오 편중도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된다. 1분기 별도 기준 매출 중 아연괴 제품 관련 매출이 1446억 원으로 전체의 84.4%를 차지했다. 제련수수료(TC) 하락과 아연 가격 약세가 겹치며 실적에 부담이 됐다는 분석이다.
전자‧반도체 부문 계열사들도 부진했다. 코리아써키트는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3546억 원, 영업손실 17억 원, 순손실 22억 원을 기록했다.
시그네틱스는 순손실이 111억 원으로, 전년 동기(55억 원) 대비 두 배로 확대됐다. 영풍전자도 적자를 기록 중이며, 과거 부품 불량 이슈로 애플 벤더에서 제외된 영향이 지속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단기간 내 실적 반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업 중단은 종료됐지만, 재가동에 따른 정상화 시점이 불확실하고, 금속 시황과 전자 계열사 업황 역시 회복 조짐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주주 일가의 책임론도 일부 제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본업의 구조적 경쟁력 확보보다는 외부 경영권 분쟁에 주력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고 평가했다./ran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파라타항공, 24일 밸리카고 첫 운항…탑재율 100%
- 한–EU, 자유무역 중요성 재확인…철강·디지털 통상 등 현안 논의
- 우원식 국회의장, 베트남 당 서기장과 회동…“경제 협력 확대 기대”
- 미국, 엔비디아 ‘H200’의 중국 수출 허용 검토…대중 규제 완화 신호?
- 일본 정부,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에 11조원 추가 지원…"반도체 부활"
- 정부, 베네수엘라 일부지역 '여행금지' 발령…"안전 우려"
- 브뤼셀서 EU 인태 장관급 포럼…정의혜 외교부 차관보 참석
- 뉴욕증시 3대 지수 상승…연준 인하 기대가 동력
- 구글 “AI 수요 따라 컴퓨팅 6개월마다 용량 두 배”
- 이재명 대통령, G20·믹타·양자회담까지 다층 외교 시동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청정 갯벌의 선물'…보성군, 제21회 벌교꼬막축제 개막
- 2파라타항공, 24일 밸리카고 첫 운항…탑재율 100%
- 3한–EU, 자유무역 중요성 재확인…철강·디지털 통상 등 현안 논의
- 4우원식 국회의장, 베트남 당 서기장과 회동…“경제 협력 확대 기대”
- 5미국, 엔비디아 ‘H200’의 중국 수출 허용 검토…대중 규제 완화 신호?
- 6일본 정부,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에 11조원 추가 지원…"반도체 부활"
- 7HD현대건설기계, 영천시에서 제17호 국가유공자 하우스 리모델링 준공식 개최
- 8신성일기념관 개관식 개최...영천에 새로운 문화 랜드마크 탄생
- 9김천교육지원청, Wee센터 돋움·디딤 프로그램 활동 평가 및 간담회 운영
- 10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 ‘빛과 쇠’의 울림…7만 5천여 명 다녀가며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