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코로나19 팬데믹 선언으로 다우 5%대↓...약세장 진입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세에 세계보건기구(WHO)가 글로벌 팬데믹(대유행)을 선언했다. 미국 재정 부양책 불확실성도 함께 대두되며 다우지수는 5.86% 폭락 마감했고, 약세장으로 진입했다.
11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64.94포인트(5.86%) 급락한 2만3,553.22에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40.85포인트(4.89%) 내린 2,741.38에 마쳤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은 392.20포인트(4.7%) 하락한 7,952.05에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종가 기준 고점 대비 20% 이상 폭락하며 약세장에 진입했고, S&P 500과 나스닥 역시 약세장 진입이 코앞이다.
전날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에 팬데믹(대유행)을 선언했다. WHO는 코로나19가 통제될 수 있을 것이지만, 당분간 감염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우려도 함께 표명했다. WHO의 팬데믹 선언에 뉴욕 증시의 낙폭은 더욱 가팔라졌다.
미국의 재정 부양책이 아직 구체화하지 못한 점도 투심을 악화시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한 의지와 다르게 미국 정부는 부양책 패키지를 내놓지 않았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급여세 인하 방안 역시 의회 통과가 미지수라는 지적이 나왔다.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세계 각국의 경기 부양 정책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인환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반등의 실마리는 대규모 재정정책과 필요한 곳에 직접 자금을 공급하는 방식이 시점”일 수 있다며 “통화정책에 의한 반등은 매우 짧고 추세성이 없었던 반면, 재정정책이나 직접 자금 공급에 의한 반등은 길고 추세성도 있었던 것을 과거 경험을 통해 알 수 있다”고 전했다. 하 연구원은 “추가적으로 반등의 실마리는 미국과 중국의 관세 철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상영 키움증원 연구원은 “앞으로 예정된 ECB 통화정책회의(12일), FOMC(18일), BOJ통화정책회의(19일) 등과 각국 정부의 재정정책을 주목하자”고 전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시간 12일(오늘) 오전 10시, 코로나19 대국민 연설을 진행한다. 이 곳에서 대한민국에 대한 여행경보 조정 같은 코로나19 관련 추가 조치가 나올지 주목된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스테이블코인에 카드업계도 비상…"새 결제질서에 생존 모색"
- 불공정거래 감시 강화 나선 거래소…"유튜브도 살펴본다"
- S&P 500 또 최고치…무역 협상 낙관에 뉴욕증시 상승
- 농협중앙회, 종합경영분석회의 개최…"비상경영대책 이행" 당부
- 우리금융그룹, 상반기 순익 1조5513억…전년比 11.6%↓
- NH농협손보 손해율 비상…高정책보험 '부메랑'
- 글로벌 사업 날개 단 JB금융…최대 실적 속 인니 진출
- 비단, 블록체인 실물자산 누적 거래액 1조2000억원 돌파
- 윤희성 수출입은행장 퇴임…"3년간 韓 경제영토 넓히려 노력"
- 우리투자증권, 상반기 영업이익 149억원…전년 比 189.9% 증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소비쿠폰 닷새 만에 신청률 72%…6.5조 원 지급
- 2장수군, 장계·계남 공공임대주택 사업 본격화…2028년 준공 목표
- 3순창군, '민원처리 알림톡' 서비스 도입…군민 소통 더 빠르게
- 4임실군-영동군, 고향사랑기부로 자매결연 도시 간 '우애' 재확인
- 5장수군, 여름 휴가철 맞이 '국토대청결운동' 실시
- 6김건희 특검, 함성득 조사…‘공천 개입 의혹’ 관련
- 7우리 이야기의 주인공은 당연히 지금, 우리다
- 8메타, 오픈AI 출신 자오셩자 수석과학자로 임명…“초지능 AI 이끈다”
- 9尹 비상계엄 손해배상 판결, 광주 재판에 영향 주나
- 10상반기 선박 매매시장 주춤…“보수적 매입 전략 필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