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코로나19 팬데믹 선언으로 다우 5%대↓...약세장 진입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세에 세계보건기구(WHO)가 글로벌 팬데믹(대유행)을 선언했다. 미국 재정 부양책 불확실성도 함께 대두되며 다우지수는 5.86% 폭락 마감했고, 약세장으로 진입했다.
11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64.94포인트(5.86%) 급락한 2만3,553.22에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40.85포인트(4.89%) 내린 2,741.38에 마쳤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은 392.20포인트(4.7%) 하락한 7,952.05에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종가 기준 고점 대비 20% 이상 폭락하며 약세장에 진입했고, S&P 500과 나스닥 역시 약세장 진입이 코앞이다.
전날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에 팬데믹(대유행)을 선언했다. WHO는 코로나19가 통제될 수 있을 것이지만, 당분간 감염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우려도 함께 표명했다. WHO의 팬데믹 선언에 뉴욕 증시의 낙폭은 더욱 가팔라졌다.
미국의 재정 부양책이 아직 구체화하지 못한 점도 투심을 악화시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한 의지와 다르게 미국 정부는 부양책 패키지를 내놓지 않았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급여세 인하 방안 역시 의회 통과가 미지수라는 지적이 나왔다.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세계 각국의 경기 부양 정책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인환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반등의 실마리는 대규모 재정정책과 필요한 곳에 직접 자금을 공급하는 방식이 시점”일 수 있다며 “통화정책에 의한 반등은 매우 짧고 추세성이 없었던 반면, 재정정책이나 직접 자금 공급에 의한 반등은 길고 추세성도 있었던 것을 과거 경험을 통해 알 수 있다”고 전했다. 하 연구원은 “추가적으로 반등의 실마리는 미국과 중국의 관세 철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상영 키움증원 연구원은 “앞으로 예정된 ECB 통화정책회의(12일), FOMC(18일), BOJ통화정책회의(19일) 등과 각국 정부의 재정정책을 주목하자”고 전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시간 12일(오늘) 오전 10시, 코로나19 대국민 연설을 진행한다. 이 곳에서 대한민국에 대한 여행경보 조정 같은 코로나19 관련 추가 조치가 나올지 주목된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BNK금융 생산적금융협의회 출범…"21조 투입해 지역금융 대전환 추진"
- 한국산업은행, 5000억원 규모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 삼미금속 "AI 데이터센터 발전기 관련 제품 매출 증가"
- 애드바이오텍 "오리온아토믹스로 사명 변경"
- 네이버페이-iM뱅크, '지역경제 활성화·디지털 결제 혁신' 위한 MOU 체결
- KB국민은행, 창구 직원 대응으로 '보이스피싱 피해 116억원' 예방
- 미래에셋증권, 국내 증권사 최초 '해외주식 잔고 50조원 돌파'
- iM금융그룹, 건물 랩핑에 체험 공간까지…“도심 속 민트빛 상상”
- 신한투자증권, 내부통제 강화 프로그램 '스캔들 Zero 2.0' 추진
- 대신증권, '고배당∙고금리 기대상품 대신에 다~이쓴' 이벤트 진행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주철현 의원 “농어촌 기본소득, 국비 분담률 높이고 대상 지역도 확대해야”
- 2장흥군, 패류생산지역 하수도 보급사업에 국비 66억 원 확보
- 3김한종 장성군수 "안전한 환경 제공 위해 빈틈없이 확인할 것"
- 4원주시의회, 시민이 지켜보고 있다.
- 5명현관 해남군수 "군의 선제적 대응으로 피해 농가 조기 지원"
- 6원주시 공무원 65% “시의회와 관계 적절치 않아…개별 사업 개입 부담”
- 7더네이쳐홀딩스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 가을 프로모션 진행
- 8빙그레, 친환경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 9남원경찰서, 도내 최초 '순찰차 거점 주차구역' 설치
- 10도성훈 인천교육감, 미래교실 글로벌 협력 나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