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전세대출, 매달 2조원↑…규제강화 영향

[서울경제TV=유민호기자]
[앵커]
5대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규모가 급증했습니다. 최근 매달 2조원씩 불었는데요.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전세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전세금 빌리는 것도 까다로워진 게 영향을 줬단 분석입니다. 유민호기자입니다.
[기자]
은행권 전세자금대출이 최근 2개월 동안 매달 2조원 이상 늘었습니다.
KB국민과 신한, 우리 등 시중은행 5곳의 전세자금대출 잔액 합계는 3월 말 현재 86조2,500여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한 달 전보다 약 2조2,000억원 증가했는데 2월 말에도 1월 말과 비교해 비슷한 수준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5대 은행의 전세자금대출이 두 달 연속 2조원 이상 늘어난 사례는 2016년 이후 한 번도 없었고, 한 달에 2조원씩 불어난 적도 전례가 없는 일입니다.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가 영향이 컸단 분석입니다.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기 위해 고가주택을 대상으로 한 주택담보대출 문턱을 높이자 주택 수요가 줄어든 대신 전세 수요가 늘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전셋값 오름세도 이어졌습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은 4억5,061만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638만원 올랐습니다.
지난해 11월 시가 9억원 넘는 주택 보유자에게 공적 보증기관의 전세자금대출 보증을 제한하고, 올 1월 민간보증으로 규제를 확대한 것도 영향을 줬습니다.
통상 계약과 잔금 시점 사이에 1∼2개월 시차가 있는데 규제 강화를 앞두고 대출을 받으려는 ‘막차’ 물량이 2월과 3월에 집중됐단 겁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에 집값 하락이 예상되자 전세로 머물려는 이들이 늘었다”며 “규제를 앞두고 계약자들의 전세대출이 2월에 시작돼 막차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서울경제TV 유민호입니다. /you@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창용 "부동산 불 지피지 않겠다"…3연속 금리 동결로 정책 공조(종합)
- 미래에셋증권, 올해 총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업계 1위
- 한은 금통위 3연속 기준금리 동결…금융안정 택했다
- 신한투자증권, 3분기 IRP 운용수익률 18.59%…증권업 1위 달성
- 한국거래소, '2025 건전증시포럼' 개최
- 다올저축銀, 시니어 고객 대상 '금융사기 예방교육' 실시
- 농협손보, '자율참여형 일손돕기' 프로그램 추진
- 신한카드, 직원 참여 기부 캠페인 'GIVE & RUN' 실시
-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2.50%…집값·환율에 발 묶여 3연속 동결
- 우리투자증권, 취약계층 청년 금융 자립 지원 프로그램 가동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CU, 김천김밥축제 경연 대회 우승작 ‘호두마요 제육김밥’ 출시
- 2에브리루틴, LA 팝업 통해 글로벌 K-뷰티 시장 본격 진출
- 3이민근 안산시장, '현답행정' 사동주민들과 예산회의
- 4이재준 수원시장, '청량산 수원캠핑장' 개장식 참석
- 5정명근 화성특례시장, '그린농업기술대학원 졸업식 참여'
- 6이권재 오산시장, 지역난방 요금 인하 위해 DS파워 방문
- 7김찬진 인천 동구청장, 해사법원 유치로 지역경제·일자리 창출
- 8엔씨소프트,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 단독 시연사 선정
- 9이창용 "부동산 불 지피지 않겠다"…3연속 금리 동결로 정책 공조(종합)
- 10동대문엽기떡볶이, 경찰의 날 맞아 ‘감사 푸드트럭’ 운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