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 현대차 코나 리콜 비용 최대 6,000억원…“책임소재에 따라 주가 반영”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현대자동차의 전기차(EV) 코나가 화재사고 관련 리콜 비용으로 최대 6,000억원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증권업계는 코나EV 화재 리콜의 경우 부상이나 사망 등으로 연결된 사례가 없다는 점에서 그나마 긍정적이라면서도 코나EV는 2019년 북미 올해의 차에 선정되는 등 품질을 인정받은 데다 출시 2년 정도의 비교적 새 모델이라는 점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발화 원인의 책임 소재에 따라 관련 기업들에 대한 브랜드 가치 우려가 주가에 반영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8일 국토부에 따르면 현대차의 전기차 코나가 차량 충전 완료 후, 고전압 배터리의 배터리 셀 제조 불량으로 인한 내부 합선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이 확인됐다.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있는 분리막 손상이 화재 원인으로 지목됐다. 현대차는 오는 16일부터 시정조치(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점검 후 배터리 교체)에 들어갈 예정이다.
리콜 진행은 국내외에서 모두 동일하게 진행된다. 현대차는 우선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업데이트하고, 배터리 셀 점검 결과에서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새 배터리로 교체한다는 방침이다.
이상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12일 “국토부 보도자료에서는 배터리 문제로 귀결된 것처럼 나왔지만 책임 소재 규명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번 리콜에 대해서도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이 결함 조사과정에서 검토한 다양한 원인 중에서 유력하게 추정한 화재 원인을 시정하기 위해 제작사에서 자발적으로 리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책임 소재에 따라 귀책 사유가 결정될 것으로 보이는데 책임 소재 공방은 크게 두 갈래로 배터리업체의 셀 불량, 완성차가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안전마진을 너무 타이트하게 설정했는지 등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대차는 전기차 코나의 국내외 화재 건수가 12건(올해 국내 5건) 넘게 발생하자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리콜도 결정했다. 코나 EV는 2018년 4월 출시 이후 최근까지 13만여대가 판매됐으며, 이번 리콜대상은 7만7,000대 가량으로 추정된다. (국내 2만6,000대, 해외 5만1,000대)
강성진 KB증권 연구원은 “일단 현대차가 인식할 수 있는 비용은 최대 6,000억원 수준으로 판단되나, 배터리 교체율이 100%보다 낮을 것”이라면서 “리콜 비용은 배터리 어셈블리 제조 업체들에게 전가될 수 있다”고 밝혔다.
KB증권은 코나 EV에 탑재된 배터리의 가격을 kwh당 12만원으로 가정할 경우, 대당 예상 배터리 교체비용은 768만원(64kwh)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전체 7만7,000대 중 100%에 대해 배터리 교체가 이뤄질 경우 총 5,914억원의 비용이 발생하며, 공임 등 부대비용을 적용하면 최대 6,000억원까지 손실을 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강 연구원은 “배터리 교환율이 10%일 경우 비용은 600억원 가량으로 줄어든다”며 “이는 일단 리콜을 담당하는 현대차에서 비용으로 인식하게 될 것으로 보이며, 차후 책임 소재에 따라 구상권이 행사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그는 발화원인의 책임소재에 따라 완성차업체, 셀 제작업체, 조립업체 등에서 브랜드 가치에 대한 우려가 주가에 반영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코나EV의 유력한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배터리 셀은 LG화학에서 공급하고 있으며, H/L그린파워(현대모비스 지분율 51%, LG화학 지분율 49%)는 패키징을 맡고 있다. BMS는 현대케피코에서 공급하며, 현대모비스는 배터리 팩과 배터리시스템어셈블리(BSA)를 만든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더본코리아, 뻥튀기 상장으로 주관 증권사 배만 불렸다?
- 국민銀 허위대출 금융사고…책무구조도 첫 사례 되나
- [이슈플러스] '재매각' 롯데카드, 인수 유력 후보에 하나금융
- iM뱅크, 시중은행 전환 1주년 ‘삼성라이온즈 브랜드데이’ 성료
- 그린플러스, 농업회사법인 팜팜과 스마트팜 신축공사 계약
- 지니언스, ‘위협 분석 보고서’ 영문판 정식 발간
- 알에프텍 子 한주에이알티, 신규 브랜드 '대구일색' 1호점 매출 1억 돌파
- 엔에스이엔엠, 걸그룹 '어블룸' 첫 싱글 ‘에코’ 공개
- 우리은행, ‘WOORI 가족봉사단’ 플로깅 봉사활동 진행
- 에이스엔지니어링, 美 EPC Power와 전략적 협력 체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하이에스트-CS관광호텔-아시아문화콘텐츠개발원, 삼자 업무협약
- 2MBK "한화 지분 헐값 처분, 1000억대 손해 봐"…고려아연 "억측"
- 3전교조 광주지부, 미래세대 위한 5⋅18민주화운동 수업 제안
- 4‘통합 30주년’ 맞은 사천시…‘사천 방문의 해’ 선포
- 5더본코리아, 뻥튀기 상장으로 주관 증권사 배만 불렸다?
- 65⋅18문학상 본상 수상작, 한정현 작가 소설집 '쿄코와 쿄지' 선정
- 7구글, 잇단 사법 리스크…실적 타격 ‘어쩌나’
- 8도시정비 양극화…삼성 ‘5조’·현엔·SK ‘제로’
- 9국민銀 허위대출 금융사고…책무구조도 첫 사례 되나
- 10'재매각' 롯데카드, 인수 유력 후보에 하나금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