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 분할상환 확산할까…불안감 여전

[앵커]
KB국민은행이 지난달 전세대출 조건으로 내건 분할상환 방식이 다른 은행으로 퍼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세입자들이 가슴을 졸이고 있는데요.
금융당국은 전세대출 분할상환은 의무화하지 않겠다고 일축했지만, 불안감은 여전합니다. 윤다혜기자입니다.
[기자]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분할상환대출 비중 확대를 권고하고 있어, 전세대출에도 분할상환 방식이 확산할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먼저 발을 뗀건 KB국민은행입니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말부터 ‘전세대출 분할상환’을 의무화했습니다.
전세대출의 경우 2년 만기가 끝난 시점에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원금을 돌려받기 때문에 ‘만기 일시 상환’이 일반적이지만, 이제는 전세를 살면서 원금도 갚아나가야 하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매달 갚아야 할 돈이 늘어나 대출자 입장에선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금리 3%로 2억원의 전세 대출을 받을때 이자만 낼 경우 월 50만원 정도인 반면, 원금의 5% 분할상환이 더해지면 매달 92만원 가까운 돈을 은행에 내야합니다.
다른 은행들의 경우 당장은 검토 중이거나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A은행 관계자
“저희도 소비자 입장을 고려해봐야 하잖아요. 고객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게 맞는 건데 의무적으로 하게 되면 사실상 너무 부담될 수 있잖아요.”
[인터뷰] B은행 관계자
“사실 당국의 전체적인 방향성은 이해가 가긴 하지만 (고객들이) 부담스러울 수도 있잖아요. 여러가지 상황 고려해서 결정할 것 같아요.”
금융당국은 전세대출 분할상환이 ’인센티브‘ 부여 대상일 뿐, 의무화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표면적으로는 강제하지 않았을 뿐, 관리와 인허가권을 쥐고있는 당국이 ‘인센티브’를 언급한 자체가 은행들을 압박하고 있는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서울경제TV 윤다혜입니다. /yunda@sedaily.com
[영상편집 김현지]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B국민銀, 미얀마 지진 피해 구호 성금 1억4000만원 지원
- 하나금융, 중기·소상공인 대상 총 6.3조원 긴급 금융지원
- 산업은행, 원전산업성장펀드 1000억원 조성 개시
- 대신證 "폴더블폰 성장 명확, 힌지 부품업체 KH바텍 주목"
- 코스피, 트럼프 관세 충격에…2500선 붕괴
- KB증권 "HD현대중공업, 신규 수주 호조…목표가↑"
- 케이뱅크 CSS 3.0 구축...이용자 특성 반영한 신용평가모델 고도화
- 삼성證 "삼성바이오로직스, 실적 성장 기대…목표가↑"
- NH투자 "엔터 산업, 성장 호재 지속…비중 확대 기회"
- DS투자 "DB하이텍, 中 이구환신 수혜 예상…목표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