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확률형 아이템’, 실적효자 vs 불신 원흉

[앵커]
게임사 넥슨이 또 다시 확률형 아이템으로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확률형 아이템은 게임사에겐 실적을 끌어주는 효자이지만, 소비자들에겐 불신의 원흉이 되기도 하는데요. 서지은 기자가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기자]
국내 최대 게임사 넥슨코리아가 '확률형 아이템'으로 또 다시 이미지를 구겼습니다.
넥슨은 지난 14일 ‘마비노기’에서 스페셜 박스를 선보였지만, 유저들의 반발로 3시간 만에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스페셜 박스는 유료 아이템을 구매해야만 얻을 수 있는데, 여기서 얻을 수 있는 상위 등급 아이템의 획득 확률이 0.01%에 불과했기 때문입니다.
[싱크] 마비노기 게임 이용자(음성변조)
“이번에 선보인 스폐셜 박스에 최강 아이템이 낮은 확률로 등장하는데, 게임 플레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어서...”
넥슨은 “유저 분들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논란이 된 아이템 판매를 중지했습니다.
넥슨은 이전에도 비슷한 논란으로 끊임없이 잡음을 일으켰던터라, 이용자들의 실망감은 더욱 큽니다.
불과 지난달 공정위는 넥슨이 아이템의 확률을 조작했다는 의혹으로 조사 중인 상황. 2018년엔 시정명령을 받았고, 분노한 이용자들이 ‘트럭시위’까지 벌인 바 있습니다.
일종의 뽑기 상품인 ‘확률형 아이템’은 게임업계의 핵심 수익원. 문제는 확률을 매우 낮게 설정해 이용자들의 불신을 사는 원흉이기도 합니다.
확률형 아이템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은 결국 국내 게임의 경쟁력까지 낮출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터뷰] 위정현/중앙대 다빈치가상대학 학장 겸 한국게임학회장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게이머들이 확률형 아이템을 기반으로 한 채 돈으로 게임의 승패가 갈리는 걸 싫어해요. 그러니깐 우리나라 확률형 아이템 기반 게임이 미국이나 유럽 시장에 못 들어가는 거죠”
계속되는 확률형 아이템 이슈로 이용자들의 실망감이 커지는 만큼, 새로운 수입 모델의 창출이나 투명한 정보공개가 필요해 보입니다. 서울경제TV 서지은입니다. /writer@sedaily.com
[영상촬영 김서진 /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CJ프레시웨이, 채널 다변화로 온라인 경쟁력 강화
- 하이트진로, 크로넨버그 1664 블랑 글로벌 앰배서더로 '로버트 패틴슨' 발탁
- CJ제일제당, '제15회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어워드'서 기업 부문 수상
- 2029년부터 신차에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의무화
- "최우수 정비사 뽑는다"…현대차, 제15회 월드스킬올림픽 개최
- 한샘 키즈가구, '샘키즈' 신상품 출시…공간 활용도·안전성 강화
- 한국마사회, ‘말산업 놀이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 발표
- 한미약품, 차세대 표적항암제 ‘HM101207’ 내년 임상 돌입
- 쿠팡, 가을 스타일 완성하는 맨투맨·후디 페어 개최
- SPC 던킨, 제주 한정판 우도 땅콩 도넛 2종 출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CJ프레시웨이, 채널 다변화로 온라인 경쟁력 강화
- 2NH농협은행, 부동산·법률 콘서트 개최…"종합자산관리 서비스 확대할 것"
- 3하이트진로, 크로넨버그 1664 블랑 글로벌 앰배서더로 '로버트 패틴슨' 발탁
- 4CJ제일제당, '제15회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어워드'서 기업 부문 수상
- 52029년부터 승용차, 2030년부터 3.5톤 이하 승합차·화물차·특수차에 단계적 의무화
- 68월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0.61%…전월比 0.04%p 상승
- 7"최우수 정비사 뽑는다"…현대차, 제15회 월드스킬올림픽 개최
- 8한샘 키즈가구, '샘키즈' 신상품 출시…공간 활용도·안전성 강화
- 9키움증권, 신한카드와 ‘키움증권 HERO 신한카드’ 2종 출시
- 10한국마사회, ‘말산업 놀이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 발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