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은행 ‘리스크’ 감독↑…압박 강도 더 높인다
불확실한 금융상황…리스크 대응 ‘대손충당금’
글로벌 위기 대응…부동산·가계대출 연착륙
성과급·배당금·사회적 책임 또 한번 언급
‘고객’과 동행해야…사회공헌 압박 높여

[앵커]
금융감독원이 '리스크 관리'를 올해 은행 감독방향의 핵심으로 제시했습니다. SVB사태 등 글로벌 금융상황이 국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서인데요, 다만 사회적 책임 카드를 재차 거론해 은행 압박 강도도 높아질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민세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금감원은 오늘(17일) 은행권 관계자들을 한자리에 모아 ‘2023년도 은행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
설명회 화두는 단연 ‘리스크 관리’였습니다.
우선 당국은 “고금리, 고환율, SVB 사태 등의 대내외 요인으로 방향성을 가늠하기가 어렵다”고 불확실한 현 금융상황을 진단했습니다.
이는 충당금에 대한 지적으로 이어졌는데, 금감원은 “대손충담금 금액으로만 보면 양호한 수준”이지만 “여신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해 총여신 대비 충당금 비율으로 보면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고 꼬집었습니다.
즉 글로벌 위기 상황에 대응하고 부동산 시장과 가계대출이 연착륙할 수 있도록 건전성 강화에 힘쓰겠다는 겁니다.
이뿐만 아니라 꾸준히 논란이 돼왔던 은행의 보수체계와 사회공헌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압박이 가해졌습니다.
당국은 성과급과 배당금은 자율의 영역이라면서도 고객과 사회에 투명하게 알려야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은행의 장기성장을 위해서는 ‘고객과의 동행’이 중요하다면서 더 적극적인 사회공헌에 대한 압박에도 힘을 실었습니다.
[인터뷰] 김준환 은행감독국장
“은행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고객과의 동반성장이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 상생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거나 추진할 계획이 있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스탠딩]
금감원이 이날 은행권 보수체계와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도 콕 집어 지적한만큼 은행권을 향한 압박은 또 한번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민세원입니다. /yejoo0502@sedaily.com
[영상취재 김수영]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1분기 증권업 실적 시장 기대 부합…NH투자 최선호"-키움
- 하나證, CJ ENM·SBS 목표가↓…"정치 불안에 광고 부진"
- 코스피, 美中 관세 전쟁 격화에 1%대 하락 출발
- SM엔터, MD매출 확대로 실적 개선 기대…업종 최선호주-한화
- 현대차, 최대 연 8.8조 관세 비용 발생 가능성…목표가↓-신한
- 이마트, 1분기 기대치 충족 실적 전망…목표가↑-IBK
- NH투자 "티웨이항공, 경쟁 심화로 수익성 악화…목표가↓"
- 금감원장, 운용사 CEO에 "경쟁 과열…책무 등한시 점검"
- 금융지주 1분기 역대 최대 실적 전망…'밸류업'은 가시밭길
- 트럼프 입에 널뛰는 증시…관세 유예에 코스피·코스닥 사이드카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평택시, 전 세계 반도체 ‘요충지’ 적합
- 2기장군, 정관 중앙공원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사업' 박차
- 3“깨끗한 거리 함께 만들어요”…진에어, 봄맞이 환경 정화 활동
- 4래시, 봄맞이 '블랙데이' 맞이 ‘래시데이 1+1 행사’ 진행
- 5DL이앤씨, 3900억 규모 '장충동 플래그십 호텔개발사업' 수주
- 6삼광의료재단, '채석래 신임 진단검사의학과 총괄원장' 취임
- 7김포시, 월곶~대곶 가로등 교체
- 8코웨이, 쿠쿠홈시스에 손배소…"얼음 정수기 디자인 침해"
- 9"1분기 증권업 실적 시장 기대 부합…NH투자 최선호"-키움
- 10하나證, CJ ENM·SBS 목표가↓…"정치 불안에 광고 부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