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연료 시장 커진다”…기술 개발 박차

[앵커]
전 세계적인 친환경 기조 속 바이오 연료가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정유사들은 발빠르게 관련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는데요. 성낙윤 기자입니다.
[기자]
폐식용유 등을 가공해 생산하는 지속가능연료, 바이오항공유.
화석연료와 비교했을 때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바이오선박유도 기존에 사용되던 중유와 경유를 대체할 수 있는 연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정유업계가 이 같은 바이오 연료를 미래 에너지원으로 꼽고 친환경 에너지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GS칼텍스는 대한항공·HMM의 실증 비행과 운항을 지원합니다. 제반 인프라 및 환경을 공동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HD현대오일뱅크는 ‘화이트 바이오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올해 대산공장 부지에 연산 13만톤 규모의 바이오디젤 제조 공장을 건설한다는 목표입니다.
SK이노베이션은 울산콤플렉스에 바이오항공유 생산 설비 사업을 전개할 예정입니다.
다만, 바이오 연료의 실질적인 수요가 높지는 않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선 정유사들은 향후 탄소중립 관련 규제가 더욱 강화될 것을 대비해 선제적으로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싱크] 정유업계 관계자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항공유 시장이 커나가고 있긴 한데, 아직 시장 수요가 그렇게 크다고 하긴 어렵고요. 다만 앞으로 세계적인 바이오항공유 시장이 확대될 것이 예상됨에 따라서 국내 정유사들도 그에 발맞추기 위해…”
세계적인 친환경 기조에 발맞춰 정유사들은 바이오 연료에 방점을 찍고 관련 기술 개발에 몰두하며 시장 선점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서울경제TV 성낙윤입니다. /nyseong@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9·7 부동산대책] 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 [9·7 부동산대책] 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 착공…“LH 직접 개발로 속도 낸다”
- 농식품부, 계란값 우려에 산란계 '사육 면적 확대' 최대 2년 늦춰
- 쿠팡 "입점 소상공인, 중소기업으로 성장한 업체 1만개 넘어"
- LG, '에이머스 해커톤' 대회 개최…상위 3개팀에 입사 시 혜택
- 대한항공, '보잉777-300ER 항공기' 이코노미석 배열 개조 철회
- 스타벅스, '하반기 바리스타 공개 채용'…14일까지 접수
- LPG협회-르노코리아, 'LPDi 하이브리드차' 양산 개발 위한 MOU 체결
- LG엔솔 인사책임자, 美구금 현장 대응 위해 출국…"조기 석방이 최우선"
- 카카오, AI 네이티브 비전 공개…"AI는 기능 아닌 운영체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포항시, 동방경제포럼서 영일만항 북극항로 대응 전략 모색
- 2포항시, 경북 무형유산대전서 우수 전통문화 가치 전해
- 3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금융지원 본격화
- 42025 영천문화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시민 화합 무대
- 5경주지역자활센터, 보건복지부 평가 ‘우수기관’선정
- 6경주시, ‘월드음식점 150곳’ 선정…APEC 손님맞이 준비 박차
- 7경주시민 10명 중 8명 “시정 만족”…민선 8기 3주년 성과 확인
- 8김천시새마을회, 2025 새마을 환경 페스타 성황리 개최
- 9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 10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 착공…“LH 직접 개발로 속도 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