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6,000억원 푸는 은행…상생금융 압박 언제까지?
12개 은행, 민생 금융 지원 프로그램 6,000억 투입

[앵커]
금융권이 올해 초 2조원 규모 상생 금융에 이어, 추가로 6,000억원을 풉니다. 이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민생 금융 지원 프로그램 일환입니다. 그런데, 구체적 지원 내용을 살펴보면 다문화 가정, 금융 취약 계층 지원 내용도 담고 있어, 정부가 할 일을 은행권이 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은행권이 올해 초 1조5,000억원 규모 이자 캐시백을 포함한 2조원대 상생금융 지원에 이어, 민생 금융 지원 프로그램 일환으로 총 6,000억을 투입합니다.
지원 대상은 전국 167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민생 금융 지원 프로그램에는 총 12개 은행이 참여합니다.
지원액 규모별로 살펴보면, 하나은행이 1,563억원으로 가장 많고, 신한은행 1,094억원, 우리은행 908억원, KB국민은행 716억원 순입니다.
국내 4대 시중은행에서만 이번 민생 금융 지원 프로그램에 4,000억원 넘게 투입하는데, 전체 지원 규모의 약 72%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서민금융진흥원 출연과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지원 부문에 2,372억원을 투입합니다.
직접 지원 부문에는 소상공인 1,919억원, 청년 660억원, 금융 취약 계층 879억원, 고령자 등 기타에 141억원 규모로 나눠졌습니다.
은행별 자체적으로 내놓은 프로그램 중에는 IBK기업은행의 다문화 가정 생활 보조금 지원, 신한은행의 전세사기 피해자 법률구조 지원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정부의 연이은 상생 금융 압박에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정부는 은행권을 향해 ‘이자 장사’ 등 날 선 비판을 이어갔고, 은행권이 지난해 이어 올해 초 상생 금융 기금을 마련했지만, 정부가 생색을 내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여기에, 민생 지원 금융 프로그램 내용을 자세히 뜯어보면, 정작 정부가 해야 하는 성격의 지원책이 담겨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장에서는 금융권을 흔들고 있는 상생 금융 이슈가 총선이 끝나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제기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김성태 기업은행장 " 中企 금융 양적·질적 선도·내부통제 강화할 것"
- 한화자산운용, 'PLUS 고배당주' ETF 주당 분배금 6.5% 인상
- 토스증권, '서버 개발자' 집중 채용…8월 17일까지 접수
- 상장 앞둔 에스엔시스 “글로벌 조선해양산업 대표기업 될 것”
- 삼성자산 'KODEX AI전력 ETF 2종' 순자산 1조원 돌파
- "스피어, SpaceX와 특수합금 장기 공급 계약…美 관세 무관 전망"
- NH투자증권, 유입 자금과 IMA 사업 수익에 시차…목표가↓-한투
- "채권보다 주식"…증시 랠리에 EB 교환 급증
- 국책은행 인사태풍 예고…낙하산 인사 경계감 커져
- NH농협금융, 상반기 순익 1조6287억…전년比 6.6% 감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