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6,000억원 푸는 은행…상생금융 압박 언제까지?
12개 은행, 민생 금융 지원 프로그램 6,000억 투입

[앵커]
금융권이 올해 초 2조원 규모 상생 금융에 이어, 추가로 6,000억원을 풉니다. 이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민생 금융 지원 프로그램 일환입니다. 그런데, 구체적 지원 내용을 살펴보면 다문화 가정, 금융 취약 계층 지원 내용도 담고 있어, 정부가 할 일을 은행권이 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은행권이 올해 초 1조5,000억원 규모 이자 캐시백을 포함한 2조원대 상생금융 지원에 이어, 민생 금융 지원 프로그램 일환으로 총 6,000억을 투입합니다.
지원 대상은 전국 167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민생 금융 지원 프로그램에는 총 12개 은행이 참여합니다.
지원액 규모별로 살펴보면, 하나은행이 1,563억원으로 가장 많고, 신한은행 1,094억원, 우리은행 908억원, KB국민은행 716억원 순입니다.
국내 4대 시중은행에서만 이번 민생 금융 지원 프로그램에 4,000억원 넘게 투입하는데, 전체 지원 규모의 약 72%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서민금융진흥원 출연과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지원 부문에 2,372억원을 투입합니다.
직접 지원 부문에는 소상공인 1,919억원, 청년 660억원, 금융 취약 계층 879억원, 고령자 등 기타에 141억원 규모로 나눠졌습니다.
은행별 자체적으로 내놓은 프로그램 중에는 IBK기업은행의 다문화 가정 생활 보조금 지원, 신한은행의 전세사기 피해자 법률구조 지원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정부의 연이은 상생 금융 압박에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정부는 은행권을 향해 ‘이자 장사’ 등 날 선 비판을 이어갔고, 은행권이 지난해 이어 올해 초 상생 금융 기금을 마련했지만, 정부가 생색을 내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여기에, 민생 지원 금융 프로그램 내용을 자세히 뜯어보면, 정작 정부가 해야 하는 성격의 지원책이 담겨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장에서는 금융권을 흔들고 있는 상생 금융 이슈가 총선이 끝나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제기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케이지에이, 평택 신공장 준공…내달 말 입주 예정
- 인포스탁, '맞춤형 ETF투자정보서비스' 선봬…ETF 80개 테마로 분류
- 이찬진 금감원장 "'삼성생명 일탈회계' 논란, 국제기준 맞춰야"
- 엔바이오니아, '메타아라미드페이퍼 제조기술' 대한 국가핵심전략기술 획득
- IBK기업은행,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서비스' 제휴사 확대
- 신한은행, 21일 '오락실 적금' 사전예약 접수 시작
- KB국민카드, 국내 여전사 최초 '지속가능연계 신디케이트 론 조달' 성공
- 하나은행, '다이렉트 해외송금' 서비스 인도네시아로 확대 시행
- SK하이닉스, 닷새째 오르며 첫 50만원 돌파
- 유안타증권, VIP 초청 자선 프로암대회 성황리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LG유플러스 대표 "해킹 피해 신고하겠다" 입장 밝혀
- 2KAI, 국내 주요 방산 3사와 KF-21 수출 경쟁력 강화 위한 MOU
- 3동두천시, ‘헬로 DDC 페스티벌’ 11월 1일 개막
- 4의정부시, 가을 하천 따라 달린다…‘전국 마라톤대회’ 25일 개최
- 5양평군, 지역상생 직판행사서 도농 상생 비전 제시
- 6인천여성가족재단, 새 정부 정책 변화 반영...지역 성평등 모색
- 7연천군, 내년 외국인 계절근로자 385명 고용 추진
- 8구리시, ‘와구리맛집 탐방’으로 지역 상권 살린다
- 9조용익 부천시장, 부천 미래상 ‘활력 경제도시’ 제시
- 10인천시, 시민 체감형 교통 개선…검단 M버스 배차간격 대폭 단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