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보험가입때 GA 금품제공 관련 검사·제재 강화”

[서울경제TV=이수빈 인턴기자] 금융당국이 보험 가입 시 일정액 이상 금품제공이 보험 법인대리점(GA) 업계에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고 보험산업의 신뢰를 훼손시킬 수 있다고 보고 관련 검사와 제재 강화에 나선다.
22일 금융감독원이 GA 업계의 건전한 영업질서 확립을 위해 주요 위법 사례를 분석한 결과, 특별이익 제공이 계약자와 피보험자간 형평성을 저해하고 불건전한 과당경쟁을 유발해 모집 질서를 훼손한다고 지적했다. 또 과도한 사업비 지출을 유발해 보험료의 인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강조했다
특별이익 제공이란 보험계약의 체결 또는 모집과 관련해 계약자나 피보험자에 일정한 금품 등을 제공하거나 제공하기로 약속하는 행위다.
보험업법에서는 연간납입보험료의 10%나 3만원을 초과하는 금품제공, 보험료의 대납, 근거 없는 보험료의 할인 등을 특별이익 제공으로 보고,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금감원은 위규 행위자에 대해서는 법상 허용하는 최대 수준의 제재를 부과하고 불법적 특별이익을 묵인하거나 내부통제를 소홀히 한 기관에 대해서는 엄중한 책임을 물을 계획이다. 리베이트 제공에 대해서도 기획검사 등을 통해 적극 대처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또 특별이익제공을 요구해 수수한 계약자나 피보험자도 형사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다며 유의를 당부했다.
최근 금감원 검사에서는 약사 등 고소득 전문직을 대상으로 고액의 연금 보험계약을 체결하면서 거액의 보험료를 대납하는 행위가 적발됐다. 월납 초회보험료가 1,000만원인 연금보험에 대해 7,200만원을 특별이익으로 제공한 사례가 있었다.
베이비페어나 육아 관련 인터넷 카페 등을 통해 알게 된 고객들에게 어린이보험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3만원이 넘는 카시트, 유모차, 상품권 등 사은품을 제공하는 행위도 적발됐다.
특별이익 제공 금지 위반에 대해서는 등록취소나 6개월 이내 업무정지 등 기관·신분 제재가 부과된다. 지난 2020∼2023년 이에 따라 2개사의 등록이 취소됐고 업무정지는 180일 1개사, 90일 1개사, 30일 3개사였다. 수사기관 고발조치가 부과된 경우도 있다. 임직원에 대해서는 해임권고가 1명, 직무정지가 2명 등이었다. /sb413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웨이비스, 고출력 GaN RF 반도체 파운드리 수주
- 펩시코, 신제품 ‘펩시 제로슈거 모히토향’ 국내 출시
- 디에스솔루션즈, 면세점 선정산 서비스 도입…"비타페이 경쟁력 강화"
- ‘도착 보장’ 네이버배송, 도입 2년 만에 거래액·주문건수 3배↑
- 투썸플레이스, ‘슈퍼투썸데이’ 진행…"고객 접점 확대"
- 포르쉐코리아, ‘딜러 매니지먼트 컨퍼런스’ 개최…"전동화 비전 공유"
- 효성벤처스, 디토닉·창업인에 올해 첫 투자 단행
- 이스타항공, ‘두산베어스’와 공동 마케팅…“2030 야구팬 공략”
- 하이트진로, ‘켈리 X 라마다 호텔’ 협업 진행
- 삼성SDI, 차세대 46파이 배터리 양산…美고객사 초도 공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광주시,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장 민관 합동점검
- 2담양군, 생활인구 감소 가장 적어…'도내 1위'
- 3웨이비스, 고출력 GaN RF 반도체 파운드리 수주
- 4펩시코, 신제품 ‘펩시 제로슈거 모히토향’ 국내 출시
- 5'나주의장단 선거 돈봉투 의혹'…시의원 구속영장 신청
- 6여수 전라좌수영 후예들, 서해수호영웅 10년째 추념
- 7디에스솔루션즈, 면세점 선정산 서비스 도입…"비타페이 경쟁력 강화"
- 8강원특별자치도, 산불 진화 인력 복귀… 산불 대응 태세 강화
- 9BPA, 2025년 사업실명제 대상 26개 사업 공개
- 10'갑질' 공무원 두둔?…광주 남구 재심의 요청 논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