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 CJ온스타일, 송출 수수료 갈등에…TV-모바일 ‘원플랫폼’ 고도화
경제·산업
입력 2024-12-13 17:33:45
수정 2024-12-13 19:48:46
이혜연 기자
0개

CJ온스타일이 케이블TV 채널에 송출을 중단하면서 ‘블랙아웃’이 열흘가량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한 배경은 뭔지, 앞으로 어떻게 되는 건지, 산업2부 이혜연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CJ온스타일이 일부 채널에 송출을 중단하면서 몇몇 케이블 채널에선 홈쇼핑 방송이 아예 안 나오고 있죠. 왜 이런 사태가 벌어진 건가요?
[기자]
CJ온스타일은 지난달 1일 딜라이브, 아름방송, CCS충북방송 등 3곳에 송출 중단을 예고했고요. 그로부터 약 한 달 뒤인 지난 5일 자정부터는 실제로 송출이 중단됐습니다. CJ온스타일과 유료방송 사업자가 송출 수수료를 두고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홈쇼핑 업계에서는 그간 수익이 악화하고 있는데, 송출수수료는 눈덩이처럼 불어 매출의 65%를 넘어선 상태라고 주장해왔고요. 유료방송 사업자들의 경우 송출 수수료가 주 수입원이기 때문에 홈쇼핑 업체들의 ‘수수료 인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왔습니다.
사실상 지난해에도 여러 TV홈쇼핑사가 케이블TV를 포함한 일부 유선방송사업자와 수수료 갈등에 송출 중단을 예고하기도 했지만, 실제 ‘블랙아웃’까지 간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앵커]
네, 그렇군요. 그럼 앞으로도 일부 채널에서 CJ온스타일의 방송을 볼 수 없는 건가요?
[기자]
지금 상황으로는 당분간 볼 수 없을 전망입니다. CJ온스타일 측은 송출 중단 3곳에 대해 송출수수료 관련 근거 자료 미제출, 관련 가이드라인 미준수 등을 문제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수수료 관련 이해관계가 개선된다면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설 의향이 있다고 밝히는 등 언제든 협상 테이블에 나갈 것이라는 가능성은 열어뒀는데요.
앞서 CJ온스타일은 송출 중단 하루 전까지도 ‘50% 이상 수수료 인하’라는 조건에서 한 치도 물러서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는 만큼 합의가 쉽지는 않을 전망입니다. 다만, CJ온스타일은 나머지 11개 케이블TV 사업자와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협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그런데 갑자기 송출을 중단하면 아무래도 매출에 타격이 있을 수밖에 없을 텐데요.
[기자]
네, 맞습니다. CJ온스타일은 매출 공백에 대한 우려에 대해 상품 경쟁력 강화를 통한 TV-모바일 연계 ‘원플랫폼’ 전략을 고도화해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업계는 CJ온스타일의 이번 결정이 모바일 부문 강화 전략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 TV홈쇼핑 업계는 지난 2020년 호황이 끝난 후 TV 시청률이 뚝 떨어지고 성장이 정체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기준 CJ온스타일의 온라인 거래액 비중은 56%로 TV를 넘어섰고, 모바일 커머스 방송의 성장을 고려하면 앞으로 온라인-TV 간 거래액 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 같은 상황 속 CJ온스타일은 지난 8월 유명 연예인을 내세운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방송을 선보이는 등 모바일 중심의 사업 재편, ‘탈TV’ 전략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수수료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모바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방향을 택할 수도 있는 이유입니다.
[앵커]
네, 수수료 갈등 속 어려움이 홈쇼핑 업계 전반의 문제로 번질 수 있는 만큼 향방을 좀 더 지켜봐야겠네요.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기자]
네, 감사합니다. /hy2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노란봉투법 국회 통과] “외국인 투자 15% 줄 것”...‘GM 철수설’ 재점화
- [이슈플러스] 원전 1기 수출 때 1조 지급…한수원, ‘굴욕 합의’ 후폭풍
- [이슈플러스] "불법파업 제도화"...주한유럽상의 "韓서 철수할 수도"
- [이슈플러스] 박동식 사천시장 “대한민국 우주 수도 만들 것”
- [이슈플러스] “AI시대 공조시장 잡아라”…삼성·LG ‘승부수’
- [이슈플러스] 쿠팡이츠 견제 나선 배민…‘교촌 협약’ 쟁점은
- “내부거래 그만”…SI업계, AI 시장 진출 활발
- [이슈플러스] “딜러사 문 닫고 떨이 판매”…‘BYD 위기설’ 확산
- [이슈플러스] 美 철강·알루미늄 50% 관세인상…철강업계 ‘비명’
- [이슈플러스] 7달새 네번째 금리 인하…주담대 증가세 가속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임미애 의원 “mz 해양경찰, 5년도 못 버티고 떠나”. . .해양경찰 조직문화 개선 시급
- 2김위상 의원 “천연기념물까지 쾅! ‘버드스트라이크’ 5년 새 2배 늘어”
- 3김승수 의원 “세계는 한복에 주목…정부 지원은 여전히 부족”
- 4차규근 의원 “최근 3년새 SNS 마켓업 수입금액 2배 이상 증가,30대 가장 많아”
- 5차규근 의원 “게임 아이템 거래 시장, 5년간 3조원 이상 거래됐다”
- 6강대식 의원 "가짜 원산지 축산물ㆍ중국 김치...군 급식 이대로 괜찮나"
- 7대구대-라온엔터테인먼트, 게임 산업 발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8성형·피부과 5년간 20% 급증…소아청소년과 2% 감소
- 9SNS마켓, 여성·30대 주도…"2년간 3배 성장"
- 10전기차 고객 10명 중 6명은 3040…20대 구매 증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