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 CJ온스타일, 송출 수수료 갈등에…TV-모바일 ‘원플랫폼’ 고도화
경제·산업
입력 2024-12-13 17:33:45
수정 2024-12-13 19:48:46
이혜연 기자
0개

CJ온스타일이 케이블TV 채널에 송출을 중단하면서 ‘블랙아웃’이 열흘가량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한 배경은 뭔지, 앞으로 어떻게 되는 건지, 산업2부 이혜연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CJ온스타일이 일부 채널에 송출을 중단하면서 몇몇 케이블 채널에선 홈쇼핑 방송이 아예 안 나오고 있죠. 왜 이런 사태가 벌어진 건가요?
[기자]
CJ온스타일은 지난달 1일 딜라이브, 아름방송, CCS충북방송 등 3곳에 송출 중단을 예고했고요. 그로부터 약 한 달 뒤인 지난 5일 자정부터는 실제로 송출이 중단됐습니다. CJ온스타일과 유료방송 사업자가 송출 수수료를 두고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홈쇼핑 업계에서는 그간 수익이 악화하고 있는데, 송출수수료는 눈덩이처럼 불어 매출의 65%를 넘어선 상태라고 주장해왔고요. 유료방송 사업자들의 경우 송출 수수료가 주 수입원이기 때문에 홈쇼핑 업체들의 ‘수수료 인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왔습니다.
사실상 지난해에도 여러 TV홈쇼핑사가 케이블TV를 포함한 일부 유선방송사업자와 수수료 갈등에 송출 중단을 예고하기도 했지만, 실제 ‘블랙아웃’까지 간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앵커]
네, 그렇군요. 그럼 앞으로도 일부 채널에서 CJ온스타일의 방송을 볼 수 없는 건가요?
[기자]
지금 상황으로는 당분간 볼 수 없을 전망입니다. CJ온스타일 측은 송출 중단 3곳에 대해 송출수수료 관련 근거 자료 미제출, 관련 가이드라인 미준수 등을 문제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수수료 관련 이해관계가 개선된다면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설 의향이 있다고 밝히는 등 언제든 협상 테이블에 나갈 것이라는 가능성은 열어뒀는데요.
앞서 CJ온스타일은 송출 중단 하루 전까지도 ‘50% 이상 수수료 인하’라는 조건에서 한 치도 물러서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는 만큼 합의가 쉽지는 않을 전망입니다. 다만, CJ온스타일은 나머지 11개 케이블TV 사업자와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협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그런데 갑자기 송출을 중단하면 아무래도 매출에 타격이 있을 수밖에 없을 텐데요.
[기자]
네, 맞습니다. CJ온스타일은 매출 공백에 대한 우려에 대해 상품 경쟁력 강화를 통한 TV-모바일 연계 ‘원플랫폼’ 전략을 고도화해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업계는 CJ온스타일의 이번 결정이 모바일 부문 강화 전략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 TV홈쇼핑 업계는 지난 2020년 호황이 끝난 후 TV 시청률이 뚝 떨어지고 성장이 정체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기준 CJ온스타일의 온라인 거래액 비중은 56%로 TV를 넘어섰고, 모바일 커머스 방송의 성장을 고려하면 앞으로 온라인-TV 간 거래액 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 같은 상황 속 CJ온스타일은 지난 8월 유명 연예인을 내세운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방송을 선보이는 등 모바일 중심의 사업 재편, ‘탈TV’ 전략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수수료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모바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방향을 택할 수도 있는 이유입니다.
[앵커]
네, 수수료 갈등 속 어려움이 홈쇼핑 업계 전반의 문제로 번질 수 있는 만큼 향방을 좀 더 지켜봐야겠네요.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기자]
네, 감사합니다. /hy2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슈플러스] 토허제 해제 한달…“재지정 해야” VS “오를 만큼 올랐다”
- [이슈플러스] '사기죄 고발' 수세 몰리자…말 바꾸는 MBK
- [이슈플러스] 현대엔지니어링 주우정 취임 석 달…영업정지 위기
- [이슈플러스] 4100억 달러선 무너진 외환보유액…수급불균형 더 커지나
- MBK, 홈플러스 책임론 확산…“고려아연 적대적 M&A 불안”
- [이슈플러스] “문제없다”던 중기부…온누리 앱 ‘오류’ 연발
- [이슈플러스] “韓 전기동력차 판매 2년째 뒷걸음”…中은 정부 덕 껑충
- [이슈플러스] 롯데그룹 "유동성 위기 타개 및 사업구조 전면 개편"
- [이슈플러스] 로켓 성장 쿠팡, 지난해 매출 첫 40조 돌파
- [이슈플러스] 현대차그룹, 미래 사업 잰걸음…“로봇 배터리 개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