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으로 더 쏠린 유통…매출 비중 50.6% ‘역대 최고’
경제·산업
입력 2025-01-23 14:52:14
수정 2025-01-23 14:52:14
이혜연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혜연기자] 작년에도 온라인 중심 유통 산업 성장세가 두드러진 가운데 온라인 유통 매출 비중이 50%를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주요 유통 업체 매출 동향' 통계를 발표했다.
2024년 주요 유통 업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오프라인과 온라인 업체 매출은 각각 2.0%, 15.0% 증가해 온라인 업체의 매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온라인은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해외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국내 진출 강화와 티메프 사태로 인한 충격에도 식품(22.1%), 음식 배달·공연·여행 티켓 등 서비스(58.3%) 분야를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온라인으로 소비 채널 이동이 빨라지면서 온오프라인 매출 증가 폭 차이는 전년의 1.5%포인트에서 올해 13%포인트로 커졌다.
오프라인에서는 대형마트 매출이 0.8% 감소하면서 유일하게 역성장했다. 백화점(1.4%)·편의점(4.3%)·준대규모점포(4.6%) 등 나머지 오프라인 유통업의 매출은 증가했다. 오프라인 유통업에서는 편의점 매출 규모가 커졌다. 편의점 매출은 꾸준히 증가해 작년 하반기 한때 백화점 매출을 추월하기도 했다.
작년 매출 비중은 온라인이 50.6%로 종전 최대였던 2023년(50.5%)을 뛰어 넘어 역대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전체 오프라인 매출 비중은 49.4%로 집계된 가운데 세부 업종별로는 백화점(17.4%), 편의점(17.3%), 대형마트(11.9%), SSM(2.8%) 등 순이었다.
온오프라인을 합쳐 전체 상품군별 매출 동향을 보면, 소비 심리 위축과 해외 직접 구매 증가 등의 영향 속에서 가전·문화(-0.9%p), 패션·잡화(-1.2%p), 아동·스포츠(-0.6%p) 분야의 매출 비중이 감소했다. 식품(0.7%p), 서비스·기타(2.2%p) 분야의 매출 비중은 증가했다.
한편, 산업부는 백화점(롯데·현대·신세계),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편의점(GS25·CU·세븐일레븐), SSM(이마트에브리데이·롯데슈퍼·GS더프레시·홈플러스익스프레스) 등 오프라인 유통업체 13곳과 SSG, 쿠팡, 11번가 등 10개 온라인 유통사의 매출 동향을 집계해 발표한다. /hy2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 美·나토, '나토 자금 활용 美무기 우크라 지원' 계획
- 美법원, '오토파일럿 사망' 테슬라 책임 인정…"수천억원 배상"
- 트럼프, 한미정상회담 언제하냐 질문에 "한미관계 훌륭"
- 특사단, 독일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공급망 등 협력 확대"
- 주유소 휘발유값 소폭 상승…경유는 2주 연속 올라
- "MBK, 10년간 먹튀…홈플러스 위기는 예고된 참사"
- ‘하반기 대어’ 대한조선 데뷔…공모가 대비 84.8% 상승
- 트럼프 움직인 K조선, 2분기 성적도 웃음꽃
- 웹툰·웹소설 눈독 들이는 게임 업계…IP 경쟁 돌입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 2美·나토, '나토 자금 활용 美무기 우크라 지원' 계획
- 3美법원, '오토파일럿 사망' 테슬라 책임 인정…"수천억원 배상"
- 4트럼프, 한미정상회담 언제하냐 질문에 "한미관계 훌륭"
- 5특사단, 독일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공급망 등 협력 확대"
- 6주유소 휘발유값 소폭 상승…경유는 2주 연속 올라
- 7"MBK, 10년간 먹튀…홈플러스 위기는 예고된 참사"
- 8트럼프 움직인 K조선, 2분기 성적도 웃음꽃
- 9‘하반기 대어’ 대한조선 데뷔…공모가 대비 84.8% 상승
- 10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