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손목터널증후군, 치료해도 손목 통증 지속되는 이유

문화·생활 입력 2025-02-11 14:07:09 수정 2025-02-11 14:07:09 정의준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손목터널증후군은 작은 통로 형태의 손목 구조물인 수근관이 변형돼 손목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수근관 내부 압력이 증가해 정중신경을 압박하면서 손목 통증, 저림 증세 등을 야기하는 것이다.

정중신경은 손바닥, 손가락으로 이어져 감각 및 운동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이 부위가 압박을 받으면 손바닥, 손가락의 저림, 감각 이상 및 통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주부, 요리사, 운동선수,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직업군 등이라면 손목 과사용으로 인해 손목터널증후군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증상이 악화되면 손목 통증과 저림 증상이 심해져 일상생활 속 고통을 받는다. 특히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거나 기본적인 손 동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손목터널증후군이 의심된다면 치료 타이밍을 빠르게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라면 비수술적 치료 방법을 시행한다. 약물치료는 손목터널증후군 염증 및 통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아울러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등을 시행해 손목의 기능 회복과 조직 치유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환자들은 비수술적 치료 이후 손목 통증 및 불편함을 재차 호소하기도 한다. 손목터널증후군 치료 후 통증 재발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지속적인 신경 압박을 꼽을 수 있다. 손목 터널 내부의 공간이 좁아져 정중신경이 지속적으로 압박을 받으면 약물요법, 물리치료만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손목 인대가 두꺼워지거나 조직이 손상된 경우 비수술 치료만으로 해결을 기대할 수 없다. 발병 상태가 장기화된 경우, 치료 시기를 놓쳐 만성화된 경우 등이라면 정중신경의 손상이 심화되어 비수술적 치료만으로 회복이 어렵다.

특히 젓가락질 등 기본적인 동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야간에 통증이 심해져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 손목 내부 신경 손상이 상당히 진행 중이라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추가 검사 및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

손목터널증후군 수술은 정중신경을 압박하는 인대를 절개해 통증 원인을 제거하는 원리로 수술 후 즉각적인 통증 완화와 함께 손목 기능이 점차 회복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치료 후 대부분 2주 이내에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을 활용한 수술도 시행할 수 있는데 관절 내부를 정밀하게 확인하면서 정밀 진단 및 치료를 전개하는 방법이다.

손목터널증후군 치료 후 통증 재발 없이 손목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예방과 관리가 필수적이다.손목 스트레칭을 생활화하고 작업 환경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무엇보다 손목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반복적인 작업을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도움말 : 방형식 고도일병원 원장 (정형외과 전문의)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