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는 하이브리드차"…국산 하이브리드차 비중 첫 20% 돌파
경제·산업
입력 2025-02-16 12:29:06
수정 2025-02-16 12:29:06
김도하 기자
0개

16일 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국산차 5사(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코리아·KG모빌리티)의 국내 판매 대수는 136만4750대로 이중 하이브리드차는 36만1151대였다.
전체 판매 대수에서 하이브리드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26.5%로, 처음으로 20%를 돌파했다.
하이브리드차 비중은 2020년 7.9%에 불과했지만, 2021년(10.4%)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 2022년(13.2%)과 2023년(19.5%)에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해는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본격화되면서 1년 새 7.0%포인트가 상승했다. 5년 새 비중이 4배 넘게 늘어난 것이다.
국산차 5사의 하이브리드차 내수 판매량도 36만1151대로, 2023년(28만4923대)과 비교해 26.8% 늘었다.
개별 차종으로 보면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하이브리드 모델이 많이 팔렸다.
기아 쏘렌토 하이브리드(6만7874대), 현대차 싼타페 하이브리드(5만5847대)가 판매 대수 기준으로 각각 1, 2위에 올랐다.
다목적차량(MPV)인 기아 카니발 하이브리드(3만9547대)는 3위를 차지했다.
올해 출시하는 신차 효과를 감안하면 국산차의 하이브리드 내수 판매 비중이 30%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내 판매하는 대형 SUV 중 팰리세이드가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하이브리드 모델을 내놓는다. 올해 하반기에는 기아의 소형 SUV 셀토스도 하이브리드 모델을 공개한다.
두 차종에는 현대차그룹이 최근 개발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TMED-Ⅱ)'을 적용된다. TMED-Ⅱ는 구동과 시동 부문에 각각 탑재된 2개의 모터가 주행 조건에 따라 보완 역할을 해 효율과 동력 성능을 높인다. /itsdoha.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네이버·카카오 한경협 합류…“글로벌 경쟁력 강화”
- “경쟁력으로 승부”…LCC업계, 지각변동 본격화
- [이슈플러스] “경계 없는 확장”…유통업계, 사업 다각화 ‘사활’
- 中 BYD, ‘딥시크 AI’로 자율주행시대 앞당긴다
- 롯데케미칼, 파키스탄 법인 979억에 매각
- 트럼프 “車·반도체·의약품 관세 25% 정도”…韓 주력품 타격
- “부산·대전·안산 ‘철도 지하화’…지방 미분양은 LH가 매입”
- '400억대 임금·퇴직금 체불' 박영우 대유위니아 회장 징역 4년
- 넥슨 '블루아카이브', 출시 4년 만 누적 매출 6.5억 달러 돌파
- 한국가스공사, 가스안전공사와 '수소 혼입 실증' 협약 체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민형배 의원,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위 지위 격하’ 정부 법안 비판
- 2부천시, 녹색제품 구매...탄소 중립 목표 추진
- 3네이버·카카오 한경협 합류…“글로벌 경쟁력 강화”
- 4“경쟁력으로 승부”…LCC업계, 지각변동 본격화
- 5“경계 없는 확장”…유통업계, 사업 다각화 ‘사활’
- 6한화생명에 쏠린 눈…김동원 경영 승계 ‘초읽기’
- 7中 BYD, ‘딥시크 AI’로 자율주행시대 앞당긴다
- 8이복현 "임종룡 임기 채워야...회장직 걸고 수습해야"
- 9롯데케미칼, 파키스탄 법인 979억에 매각
- 10'테슬라 강세론자' 댄 아이브스 "M7 업은 美 기술주 25% 추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