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후판에 38% 반덤핑 관세…철강업계 ‘숨통’

경제·산업 입력 2025-02-21 19:02:12 수정 2025-02-21 19:02:12 김효진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中 후판에 38% 반덤핑 관세…철강업계 ‘숨통’

[앵커]
정부가 저가 물량 공세를 펴 온 중국산 후판(선박 건조 등에 쓰이는 철판)에 최대 38%의 ‘반덤핑 관세’를 매기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30%가량 저렴한 중국산 제품과 경쟁해오던 국내 철강업계의 숨통이 트일 전망인데요.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국내에 들어오는 중국산 후판에 ‘반덤핑 관세’가 부과됩니다.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어제(20일) 중국산 후판제품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진행한 결과 덤핑 사실과 덤핑 수입으로 인한 국내 산업의 실질적 피해를 추정할 근거가 있다며 잠정 관세 부과 예비판정을 내렸습니다.

덤핑 방지 관세율은 27.91~38.02%입니다. 무역위는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이 같은 잠정 덤핑 방지 관세 부과를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이후 본조사를 진행한 뒤 올해 상반기 중 최종 판정을 내릴 예정입니다.

최종 판정 여부에 따라 이르면 3개월 후부터 덤핑 방지 관세가 부과됩니다. 통상 중국산 후판은 국내 후판 가격보다 20~30% 저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동안 중국이 ‘저가 밀어내기’로 국내 시장을 공략하며 철강업계의 우려가 컸는데, 이번 반덤핑 관세로 한숨을 돌릴 수 있게 됐습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아직 본조사와 최종판정이 남아있지만, 동등한 가격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철강업계와 반대로 조선업계는 선박 제조원가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후판 가격 인상 압박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오랜 불황의 터널을 지나 이제 막 기지개를 켜려던 조선업계에 찬물을 끼얹는 것과 같다”며 “국내 조선사의 경쟁력 저하를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보세창고를 통해 관세 없이 후판을 수입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결국 전체 유통 가격의 거품이 빠지면 가격 협상에서 불리하게 흐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는 겁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효진 기자

hyojeans@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