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9% "대주주 MBK까지 '홈플러스 채권 사기·배임·탈세' 조사해야"
금융·증권
입력 2025-03-17 10:18:33
수정 2025-03-17 10:18:33
김보연 기자
0개
국민 69.0% "MBK '차입매수' 규제 필요"
국가기간산업 고려아연 침탈 우려
국민 71.9% "사모펀드 규제 강화해야"
국회 정무위, 김병주 MBK 회장 증인 채택했으나 '불참' 예고

[서울경제TV=김보연 기자] 국민 10명 중 7명은 홈플러스 채권 사기발행, 배임과 탈세 의혹 등에 대해 대주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MBK)까지 전방위 수사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는 여론조사가 17일 공개됐다.
리얼미터가 지난 13~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회사를 넘어 대주주인 MBK까지 조사를 확대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냐'고 조사한 결과, 68.7%(688명)이 동의했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19.1%(233명), 잘 모르겠다는 12.2%(15명)로 집계됐다. 대주주인 MBK까지 조사가 필요하다는 데 국민 공감대를 형성한 상황인 것이다.
홈플러스가 스스로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알았으면서도 부족한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해 투자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줬다는 여론이다.
논란이 사그라지지 않자, 홈플러스는 말을 바꿔 전기단기사채(ABSTB)를 발행한 지난달 25일에 미리 신평사로부터 신용등급이 강등된다는 점을 통보받았다고 인정했으나, 발행주체가 홈플러스가 아닌 증권사라고 해명하고 있는 상황. 앞서, MBK는 오렌지라이프(현 신한라이프) 매각 당시에도 탈세 등의 혐의로 400억여원을 추징당한 바 있고, 김병주 회장은 역외 탈세 의혹도 가시지 않아 '모럴 헤저드' 논란이 거센 분위기다.
MBK가 홈플러스 인수 때 사용한 차입매수 방식 관련 조사에선 69.0%(691명)이 '규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과거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절반 이상의 차입금(4조3000억원)을 갚기 위해 홈플러스 알짜 자산을 매각한 탓에 경쟁력 악화가 촉발됐다는 이유다.
차입매수는 인수자가 피인수기업의 명의로 돈을 빌려 인수자금을 마련하거나, 피인수기업의 자산을 매각해 인수금융을 상환하는 방식이다.
MBK는 지난해 9월부터 시도하고 있는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서도 차입매수 방식을 취하고 있다. 현재까지 MBK가 고려아연 지분 매입에 투입한 1조5600억여원 가운데 75%(1조1775억원)가 증권사로부터 빌린 대출금이라, 고려아연에 상당한 상환 부담을 안길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 필요성도 국민 대다수가 느끼고 있단 결과가 나왔다.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하냐'는 조사에서 '그렇다'가 71.9%(720명)를 기록했다.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힌 18.9%(189명)의 3배를 웃돌았다.
현재 MBK와 같은 기관전용 사모펀드가 운용하는 자금(약정액 기준)은 136조원이 넘는다. 우리나라 정부 예산의 5분의 1 수준이다. 다만, 사모펀드의 주주 구성, 의사결정구조, 수익률, 인수기업 목록 등은 사모펀드가 스스로 밝히지 않는 이상 확인할 수 없어 신뢰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한편, 국회 정무위원회는 오는 18일 열리는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긴급 현안질의에서 김병주 MBK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했지만, 홍콩과 상하이 등 해외 출장을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한 상태다. /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전남 체육인의 대축제'…제64회 전라남도체육대회 장성서 화려한 개막
- 2경산교육지원청, 2025 경북소년체육대회 성공적 마무리
- 3대구교통공사,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 유공 ‘조달청장상’ 수상
- 4남양주시의회, 왕숙 간담회…'임대 불편 등 조율 과제'
- 5박준희 아이넷방송 회장, 미국 버지니아 통합의학대학원 명예박사 학위 받아
- 6고창군, ‘한국의 갯벌’ CEPA 국제심포지엄 개최
- 7'만찢남녀'와 대화?...네이버웹툰 '캐릭터챗' 열풍
- 8태광그룹 티캐스트, 자체 제작 중단…‘정리 해고’ 수순?
- 9‘적자 전환’ 신세계L&B…‘친정 복귀’ 마기환 해법은
- 10K배터리 점유율 ‘뚝’…中 CATL, 韓 안방 넘보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