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조 긴급지원 나선 금융지주…당국, 자본규제 완화 검토
금융·증권
입력 2025-04-08 19:28:19
수정 2025-04-08 19:28:19
이연아 기자
0개

[앵커]
미국 상호관세 충격이 수출기업과 중소기업 등으로 고스란히 이어지는 조짐이 보이자, 금융지주들이 25조원 규모 금융지원책을 발표했습니다. 은행권에서는 업종별 관세 리스크를 분석 중인데, 결국 건전성 관리를 위해 기업대출 축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됩니다. 당국에서는 이같은 상황을 막기 위해 은행권 대상 규제 완화 검토에 들어갔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일 미국 상호관세 부과로 수출기업과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금악화 충격이 이어지자 금융권에서 잇달아 금융지원책을 발표했습니다.
신한금융지주는 10조5000억원 규모 금융지원에 나섰고, KB금융지주는 총 8조원 규모 금리 우대 프로그램을 운영, 하나금융지주는 6조3000억원 규모 긴급 유동성 지원에 나섰습니다.
농협금융지주는 기술보증기금과 함께 1929억원 규모 금융지원을 진행 중이고, 우리금융지주는 상호관세 피해지원 TF를 꾸리고 관세 충격이 큰 수출입기업 최우선 지원에 나섰습니다.
이미 지난주부터 금융지주사들은 긴급회의를 소집해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하며 대응 중입니다.
은행권에서는 특히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업종별, 차주별 관세 리스크를 집중 분석하고 있는데, 일부 은행에서는 관세 영향을 3단계로 나눠 모니터링하고 올해 상반기 말 정기 산업등급 평가에 반영할 계획입니다.
하나은행은 이미 이차전지 산업을 중점관리업종으로 편입했고, IBK기업은행은 관세 영향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시나리오별 대응책 보유 여부를 확인 중입니다.
은행권에서는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빠른 속도로 악화되고 있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월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0.53%,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77% 수준인데, 은행권에서는 관세 충격에 더해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금융지주사들이 건전성 관리라는 핵심과제를 안고 있어 위험가중자산(RWA) 축소를 위해 기업대출을 우선적으로 줄일 것이라는 전망을 제기합니다.
금감원도 이같은 상황을 우려해 오늘(8일) 오전 상호관세 대응 점검회의를 열고, 은행권의 자금지원에 부담을 줄이기 위한 수출기업 대출 관련 자본규제 완화 방안 검토에 들어갔습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미래에셋, ‘TIGER 미국S&P500’ 올해 개인 누적 순매수 1조 돌파
- 씨이랩, XAIVA ON-DEVICE KC 전파 적합성 인증 획득
- 뉴로메카, 메가시티협력 첨단산업 육성지원 사업 주관기관 선정
- 신한은행, '신한인증서 땡겨요' 이벤트 실시
- 우리은행, 중소기업 퇴직연금 활성화 위한 협약 체결
- 새마을금고보험, 대학생 서포터즈 ‘엠지니어스’ 첫 모집
- 코어라인소프트, 글로벌 탑티어 헬스케어사 ‘바이엘’과 공급 계약
- 코스피, 장 초반 2570대 상승…코스닥은 약보합
- [속보] 원달러 환율, 25.3원 급락…1380원으로 6개월 최저
- 카카오뱅크 1분기 순익 1374억원…전년比 23.6% 증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박원종 의원, 지역 봉사활동 참여...복지 사각지대 해소 앞장
- 2하동야생차문화축제, 성황리 종료
- 3장성군, 전남장애인체전 마무리…선수단·관객 1만여 명 방문
- 4광주시교육청, 5⋅18민주묘지 참배... "5⋅18정신 인류보편의 가치"
- 5CJ올리브네트웍스 인증서도 털렸다…北해킹조직 의심
- 6성화종합건설, ‘횡성 성화누리안’ 성황리 공급
- 7신안군, 치매안심마을 프로그램 '호응'
- 8서상교 팀장 주도 한국보험금융 FND지사, 군인 재무 컨설팅 공개
- 9와이앤아처, ‘그린 유니콘 G-Corn’ 농식품 스타트업 육성 추진
- 10진도군, 읍·면 우리동네 복지기동대 담당자 간담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