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중동에 첫 공장 착공…사우디 모빌리티 성장 가속화
경제·산업
입력 2025-05-15 17:38:31
수정 2025-05-15 18:55:06
이혜란 기자
0개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서 공장 착공식 개최
HMMME, 전기·내연기관차 등 연 5만대 생산

[앵커]
현대자동차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와 함께 중동 지역 최초의 생산 공장을 짓습니다. 오는 2026년 4분기 가동을 목표로 연간 5만 대 규모의 전기차, 내연기관차를 혼류 생산할 수 있는 공장으로 건설되는데요. 현대차는 이번 공장을 중동 외에도 인접 시장까지 진출하는 전초기지로 삼겠다는 전략입니다. 이혜란 기잡니다.
[기자]
현대자동차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와 손잡고 중동 지역 최초의 생산 공장을 건설합니다.
사우디는 석유 중심 산업에서 벗어나 제조업으로 산업구조를 전환하기 위해 국가 발전 프로젝트인 ‘비전 2030’을 실행 중인데, 현대차 공장이 사우디 자동차 산업의 기술 기반을 끌어올리는 데 핵심 역할을 맡을 거란 기대가 나옵니다.
현대차는 14일(현지시간) 사우디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에서 공장 착공식을 열었습니다.
이 공장은 내년 4분기부터 연간 5만 대 규모로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를 생산할 예정.
지분 구조는 현대차와 사우디 국부펀드가 각각 30%, 70%인 합작 형태입니다.
[싱크] 장재훈 / 현대자동차 부회장
“현대차 중동 생산법인은 사우디의 ‘비전 2030’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 비전은 사우디의 잠재력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이 나라의 지속가능한 성장의 기반을 다지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현대차 측은 사우디가 GCC(걸프 협력 회의) 외 북아프리카 등 인접 시장까지 진출할 수 있는 전략적 위치라는 점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또 사우디 시장 고유의 특성에 맞춘 맞춤형 상품 개발과, 현지 생산 확대를 추진하겠다며, 중요한 건 얼마나 빠르게 현지화할 수 있느냐가 과제라고 밝혔습니다.
해외 투자가 활발한 만큼 국내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해지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해외에 투자를 한다고 해서 국내를 소홀히 하는 건 아니라고 선 그었습니다.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은 “글로벌 성장이 현대차의 최우선 과제지만, 한국에서도 미래 기술 중심(AI, 로보틱스, 에너지 분야)의 투자를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현대차그룹의 국내 투자 계획은 사상 최대인 약 24조3000억 원 규모.
미국에 4년간 31조를 투자하는 것과 비교해 작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삼성전자 ‘XR 헤드셋’ 베일 벗었다…“멀티모달 AI로 혁신”
- ‘시흥 교량 붕괴’ SK에코플랜트·계룡건설 영업정지 6개월
- HD현대·한화오션, APEC서 K조선 알린다…수주 총력
- 현대차, 印 상장 1년…현지 경쟁 ‘격화’에 전략 강화
- 무신사, 7년만 BI 변경…브랜드 리빌딩 가속
- 리스크 벗은 카카오엔터, SM엔터와 시너지 극대화
- LG전자, 신용등급 3년만 상향…“印 IPO 흥행·실적개선”
- SK이노베이션, 6000억원 CB 발행…SK온 지분매입
- S-OIL, 샤힌 프로젝트 공정률 85% …"석유화학 새 도약"
- 동성제약 “인가 전 M&A로 거래재개”…기업 정상화 의지 천명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출렁다리 254개 시대...지역관광, 다리만 놓고 끝났나
- 2이천쌀문화축제, “쌀로 잇는 즐거움”...22일 개막
- 3해리농협 천일염가공사업소, 코스트코 매장 입점 기념식 개최
- 4김병전 부천시의회 의장, 지역 미식 산업 활성화 캠페인 참여
- 5인천관광공사, 경찰·기업과 함께 치안산업 혁신 기술 선보여
- 6삼성전자 ‘XR 헤드셋’ 베일 벗었다…“멀티모달 AI로 혁신”
- 7‘시흥 교량 붕괴’ SK에코플랜트·계룡건설 영업정지 6개월
- 8동양·ABL 품은 우리금융, 분기 1조 클럽 기대
- 9HD현대·한화오션, APEC서 K조선 알린다…수주 총력
- 10현대차, 印 상장 1년…현지 경쟁 ‘격화’에 전략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