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국민 눈 높이에 못 미친 광해광업공단, 존재 이유를 다시 묻는다.
강원
입력 2025-06-20 15:53:47
수정 2025-06-20 15:58:35
강원순 기자
0개

문제는 이번 결과가 결코 일시적 실수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 경영전략의 부재 , 수익성 악화, 사회적 책임 이행 부족 등 지적된 문제는 모두 공공 기관의 존재 이유와 직결되는 핵심 항목이다. 특히 자원안보와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응답하지 못한 점은 치명적이다. 공단은 '23년 한국광물자원공사와 통합된 이후, '광물자원의 안정적 확보'와 '광해방지 및 환경 복구'라는 투트랙 임무를 안았다. 그러나 경영통합의 시너지 보다는 혼선과 방향성 상실이 더 크게 부각됐다. 내외부에서 쏟아지는 '이도 저도 못 하는 애매한 조직'이라는 비판은 이제 더 이상 무시 할 수 없는 현실이다.
무엇보다 우려스러운 것은 이 기관의 미래비전이다. 자원 개발 분야는 시장성이 없다는 이유로 민간이 외면하는 영역 이지만, 그렇기에 공공기관의 역할이 중요한 법. 그러나 이번 공단의 평가 결과는 광해공단이 '그 역할을 수행할 준비 조차 돼 있지 않다'는 정부의 공식적인 판단으로 읽힌다.
이쯤 되면 묻지 않을 수 없다. 공해광업공단은 왜 존재 하는가. 단순한 조직 유지가 목적이 아닌 이상,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이라면 지속 가능한 자원 전략과 책임 있는 경영으로 그 존재 이유를 입증해야 한다.
기재부는 해당 기관애 대해 경영개선 계획 제출과 컨설팅 실시를 예고 했다. 그러나 보여 주기식 대책이 반복 된다면 '공공성의 실종'이라는 비판은 피할 수 없다. 광해광업공단은 이제 스스로 답해야 한다. 미흡한 공공기관이 아니라 시대적 사명을 감당하는 책임 기관이 될 수 있는지 말이다./k1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기자수첩] 지역경제의 버팀목 강원랜드… 규제의 굴레를 벗을 때다
- [기자수첩] ‘보훈’의 이름이 무색한 공단의 민낯
- [기자수첩] 원주시의회, 시민이 지켜보고 있다.
- [기자수첩]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이후의 길
- [기자수첩]원주시 · 시의회, '이탈리아 외유성 출장' ... 시민을 기만한 관광 아닌가
- [기자수첩]5년 앞으로 다가온 오사카 카지노, 강원랜드의 생존 전략은?
- [기자수첩]'보통 평가 뒤에 숨은 책임, 이제는 돌아봐야 할 때'
- [기자수첩]한국관광공사, 공공기관 경영평가 E등급 이유는
- [기자수첩]횡성군, 청년면접수당 지원 ... 1년 예산 총 500만원, 실효성 의문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케이지에이, 코윈테크·탑머티리얼과 합동 IR 진행
- 2김한종 장성군수 "주민의 목소리가 공모사업 예산 확보 결실"
- 3금호타이어 노사, 임금협상 잠정합의…부분 파업 유보
- 4카니발 하이리무진 특장 브랜드 고저스리무진, 'BASE' 모델 출시
- 5에어브릿지, 국내 본사 기업 기준 MMP 점유율 1위 기록
- 6Qt 그룹, 인피니언과 차세대 MCU 통합 그래픽 솔루션 제공
- 7‘세금 재테크 포럼’ 23일 개최…벤처투자 소득공제 전략 소개
- 8인천시, 시민이 강사가 된다… ‘인천형 시민교수’ 본격 추진
- 9구리시, ‘2025 소상공인연합회 워크숍’서 상생 간담회 열어
- 10의정부도시교육재단, AI로 영어학습 혁신 나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