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국민 눈 높이에 못 미친 광해광업공단, 존재 이유를 다시 묻는다.
강원
입력 2025-06-20 15:53:47
수정 2025-06-20 15:58:35
강원순 기자
0개

문제는 이번 결과가 결코 일시적 실수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 경영전략의 부재 , 수익성 악화, 사회적 책임 이행 부족 등 지적된 문제는 모두 공공 기관의 존재 이유와 직결되는 핵심 항목이다. 특히 자원안보와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응답하지 못한 점은 치명적이다. 공단은 '23년 한국광물자원공사와 통합된 이후, '광물자원의 안정적 확보'와 '광해방지 및 환경 복구'라는 투트랙 임무를 안았다. 그러나 경영통합의 시너지 보다는 혼선과 방향성 상실이 더 크게 부각됐다. 내외부에서 쏟아지는 '이도 저도 못 하는 애매한 조직'이라는 비판은 이제 더 이상 무시 할 수 없는 현실이다.
무엇보다 우려스러운 것은 이 기관의 미래비전이다. 자원 개발 분야는 시장성이 없다는 이유로 민간이 외면하는 영역 이지만, 그렇기에 공공기관의 역할이 중요한 법. 그러나 이번 공단의 평가 결과는 광해공단이 '그 역할을 수행할 준비 조차 돼 있지 않다'는 정부의 공식적인 판단으로 읽힌다.
이쯤 되면 묻지 않을 수 없다. 공해광업공단은 왜 존재 하는가. 단순한 조직 유지가 목적이 아닌 이상,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이라면 지속 가능한 자원 전략과 책임 있는 경영으로 그 존재 이유를 입증해야 한다.
기재부는 해당 기관애 대해 경영개선 계획 제출과 컨설팅 실시를 예고 했다. 그러나 보여 주기식 대책이 반복 된다면 '공공성의 실종'이라는 비판은 피할 수 없다. 광해광업공단은 이제 스스로 답해야 한다. 미흡한 공공기관이 아니라 시대적 사명을 감당하는 책임 기관이 될 수 있는지 말이다./k1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왼발 하나로 희망을 걷는다" 이범식 박사, 순창군 방문
- 2순창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1인당 최대 45만 원 지원
- 3장수군, 7월 재산세 9억 6000만 원 부과
- 4임실군, 남성 육아휴직 장려금 지급…3개월 간 매달 30만 원
- 5임실군, '2025 임실N치즈축제' 준비 상황 보고회 개최
- 6푸디스트, '고객 참여형 메뉴'로 워터파크 식음 트렌드 선도
- 7담이랑 헷갈리는 ‘근막통증증후군’, 한방치료 해볼까?
- 8치약, 크림, 모기기피제…동국제약, 반려동물 헬스케어 위한 캐니시리즈 3종 출시
- 9미분양 감소·가격 상승…울산 신정동 선분양 단지 ‘e편한세상’ 눈길
- 10부산시, 동해선 개통 계기로 동해안권 관광 활성화에 '날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