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값 6개월째 6%대 상승…‘990원 빵’에 논쟁 가열
경제·산업
입력 2025-09-03 08:55:02
수정 2025-09-03 17:29:23
김민영 기자
0개
8월 빵값 6.5%↑, 2년 1개월 만에 최고…"출고가 인상 등 반영"
공정위 보고서, '원재료 유통 경쟁제한·시장 독점 가능성' 거론

[서울경제TV=김민영 인턴기자] 빵값이 6개월 연속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빵값은 작년보다 6% 넘게 뛴 가운데 최근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의 '990원 빵' 판매로 적정 가격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8월 빵 물가지수는 138.61(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5%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7%)의 3배 이상에 달한다. SKT의 통신 요금 인하 정책 효과를 제외하고 통계청이 추정한 소비자 물가상승률(2.3%)과 비교해도 두 배가 넘는 수준이다.
빵 가격이 이처럼 크게 오른 것은 2023년 7월(8.6%) 이후 2년 1개월 만이다.
빵값은 지난해 4월부터 11월까지는 1% 미만 상승률을 기록했으나, 12월 3.3%, 올해 1월 3.2%, 2월 4.9%로 오르더니 3월부터는 6개월 연속 6%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3월에 6.3%로 껑충 뛰었고 4~7월은 각 6.4%였다. 빵의 주재료인 밀가루 가격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의 영향으로 2022년 작년 동월 대비 45.5%까지 급등한 뒤, 2023년 9월에는 -0.4%하락, 2024년 9월에는 -3.8% 하락했다.
2024년 9월 이후에는 -1.4%∼1.3% 움직이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전쟁 이전보다 높은 수준이다. 달걀 가격은 지난 4월 이후 꾸준히 올랐고 8월에는 작년 같은 달보다 8.0% 뛰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작년 말부터 시작된 출고가 인상이 누적돼 반영되고 있으며,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과 인건비 부담 등도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유명 경제 유튜버 '슈카'는 최근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에 대응하겠다며 소금빵과 베이글 등을 990원에 판매해 화제가 됐다.
하지만 일부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는 "마치 기존 빵집들이 과도한 이윤을 남기고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런 가운데 국내 빵값이 주요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공주대 산학협력단이 공정거래위원회 의뢰로 수행한 '제빵산업 시장분석 및 주요 규제 경쟁영향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129로, 미국(125), 일본(120), 프랑스(118)보다 높았다. 100g당 평균 빵 가격도 한국(703원)이 프랑스(609원), 미국(588원), 호주(566원)보다 비쌌다.
보고서에는 국내 베이커리 전문점의 수익성이 크게 향상됐다는 분석도 담겼다. 매출은 2020년 약 6조 240억원에서 2022년 약 7조 5700억원으로 2년 사이 25.7%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700억원에서 4700억원으로 75.3% 늘었다.
양산빵 시장도 확대 추세다. 국내 양산빵 판매액은 2018년 2조 8372억 원에서 2022년 3조 9589억 원으로 연평균 8.7% 증가했다.
이는 전체 식품 국내 판매액 연평균 증가율(6.0%)보다 높은 수준이다. 1kg당 생산 단가는 2020년 2009원에서 2022년 4534원으로 상승했는데 같은 기간 판매단가는 285원에서 5591원으로 뛰어서 생산 단가와의 격차도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최종 결론을 비공개했지만, 설탕·계란·우유 등 주요 원재료가 가공·유통되는 과정에서 시장 경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고 분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양산빵 소매 시장에서 SPC삼립의 매출액 점유율이 80%에 달해 사실상 독점력이 존재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공정위는 지난 4월부터 농심, 오리온, 롯데웰푸드 등 주요 식품업체를 상대로 현장조사에 나서서 빵·과자류 출고가 인상 과정에서 담합이 있었는지를 들여다보고 있다.
또 지난 6월에는 대한산란계협회가 고시가격을 회원사에 따르도록 강제해 계란 가격 상승을 유도했는지에 관해서도 조사에 착수했다. /melissa688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엑스게이트·이노뎁, 영상관제 분야 양자 보안기술 협력 MOU
- 현대차 노조, 7년만 파업…기아 임단협도 평행선
- 석화 위기 해법찾나…정유·석화 수직계열화 ‘시동’
- ‘백종원 리스크’ 더본코리아…소스 사업으로 위기 돌파
- LG엔솔, 中 제치고 벤츠에 배터리 공급…15兆 추산
- “실적부진에 사망사고”…포스코그룹, 돌파구 찾나
- 은마아파트, 46년만 재건축…“매매 물건 실종”
- 그린몬스터, 지방 흡수 억제 돕는 ‘디톡 알파 CD’ 선봬
-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부산 전시장 오픈…“韓서 사업 확장”
- GS건설 허윤홍 대표, 근로자 사망 사고 공식 사과…“안전 전면 재점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 10월 31일까지 반려견 동물등록 자진신고 접수
- 2순창군 옥천인재숙, 교육부 '자기주도 학습센터' 최종 선정
- 3남원시, 석면 없는 안전한 주거환경 위해 '슬레이트 처리' 지원 확대
- 4순창군 유등면, 군 최초 주민자치회 발족
- 5국립민속국악원, 9월 하반기 국악명상 참가자 모집
- 6장수군, 첨단 장비로 잔류농약 463종 정밀 검사
- 7임실군, 외국인 근로자 비자 승급 지원금 첫 전달
- 8남원, '포도의 도시' 향해 첫걸음…흥부골 포도축제 성황
- 9장수서 4~5세기 마한 취락지 확인…주거지 63기·토기 대거 출토
- 10임실N치즈축제, 5일간의 가을 대향연…치즈·꽃·체험 풍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