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샤힌 프로젝트 공정률 85% …"석유화학 새 도약"
경제·산업
입력 2025-10-22 17:47:29
수정 2025-10-22 17:48:20
김혜영 기자
0개
신기술 도입 고부가가치 석유화학으로 국내 석유화학 도약 선도

22일 S-OIL은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성과 내부조달 기반의 원재료 경쟁력을 겸비한 샤힌프로젝트의 성공을 자신했다.이달 현재 울산시 온산국가산업단지에 자리잡은 샤힌 프로젝트 건설현장에는 대형 타워, 반응기, 가열로, 컴프레서, 열교환기, 저장탱크와 총 101개의 모듈이 자리를 잡아 전체적으로 공장의 윤곽을 갖추고 있었다.
샤힌 프로젝트는 에너지, 환경 측면에서 미래지향적으로 설계된 첨단 석유화학 복합시설이다. 국내 석유화학 설비로는 최대 규모인 높이 118m의 프로필렌 분리타워(Propylene Fractionator)가 위용을 자랑하고,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는 신기술이 적용돼 원유에서 직접 석유화학 원료를 생산하는 TC2C(Thermal Crude-To-Chemicals) 수첨분해 반응기, 에틸렌을 생산하는 핵심설비 크래킹히터를 비롯한 주요 장치의 설치 마무리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TC2C 공정은 원유에서 LPG, 나프타 등 석유화학 원료를 직접 뽑아내 수율을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건설 현장은 크게 3곳으로 나누어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기존의 울산 콤플렉스(Complex)에 인접한 약 480,000 평방미터의 부지에는 스팀 크래커, TC2C 시설 등의 에틸렌 생산시설(패키지 1)과 저장시설(패키지 3)을 건설하고 있다. 이곳에서 남동 쪽으로 5km 가량 떨어진 당월지역 약 400,000 평방미터 부지에는 폴리머 공장(패키지 2)을 세우고 있다.
하루 평균 11,000명의 작업자들이 토목, 철골, 기계, 배관, 전기, 계장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토목공사에 레미콘 트럭 약 6만 대 분량의 방대한 물량이 투입됐고, 사용된 전선을 이으면 8,300km로 울산에서 서울을 10번 왕복할 수 있는 길이에 달한다.
샤힌 프로젝트는 원유 및 부산물을 석유화학 원료로 직결시키는 최신 기술인 TC2C 공정과 최대 수준의 스팀 크래커(에틸렌 생산능력 연 180만톤)를 비롯한 고효율 설비를 포함하고 있다. TC2C는 원유 등의 원료를 전통적인 방식 대비 간소한 분리 및 촉매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석유화학 원료용 유분의 수율이 기존 설비에 비해 3~4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S-OIL 관계자는 “신규 시설은 공정 단순화, 에너지 효율 극대화, 탄소 배출 저감 측면에서 탁월하여 S-OIL의 정유-석유화학 수직 계열화 체제를 한단계 더 진화시키게 된다. 이는 한국 석유화학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S-OIL은 글로벌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흐름에서 지속성장을 이어가기 위해 최근 10년 동안 14조원 이상을 투자하며 석유화학 사업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1단계 정유 석유화학 복합시설(RUC & ODC) 건설에 5조 원을 투입해 2018년 상업가동을 시작했다. 이 시설 가동으로 정유사업과 수직 통합에 기반한 석유화학의 확장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며 ‘정유에서 화학으로’ 포트폴리오 전환의 기반을 마련했다.
바통을 이은 2단계 샤힌 프로젝트는 기초소재 산업의 성장에 대비해 석유화학 비중을 2배로 확대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야심 찬 계획이다. 장기 성장전략에 기반해 국내 석유화학 역사상 최대인 9조 2580억원을 투자하는 일관된 투자 행보를 나타내고 있다.
샤힌 프로젝트는 내년 상반기 기계적 완공 이후 시운전을 거쳐 본격 가동되면 에틸렌(180만 톤), 프로필렌(77만 톤), 부타디엔(20만 톤), 벤젠(28만 톤) 등의 기초유분을 생산한다. 이중 에틸렌은 대부분 폴리머 공장에 원료로 투입되어 플라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합성 소재 생산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LLDPE 88만 톤, HDPE 44만 톤)을 자체 생산할 계획이다.
잔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 부타디엔 등의 기초유분은 주로 국내 석유화학 다운스트림 업체들에게 배관을 통해 공급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S-OIL과 울산∙온산 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석유화학 기업들 간 안정적인 원료공급을 위한 장기협약이 협의 막바지 단계다. 신규 배관망 등 물류 관련 인프라 구축 공사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S-OIL 관계자는 “울산∙온산 국가산업단지는 지역의 다운스트림 업체들이 가동률을 높일 경우 기초유분의 수입이 필요한 구조”라며 “샤힌 프로젝트로부터 생산된 원료를 배관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수입물량을 대체함으로써 다운스트림 생산업체들의 적시 원료 조달과 물류비 절감을 가능케 하고 장기적으로 산단의 밸류체인 경쟁력 강화와 국가 무역수지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샤힌 프로젝트가 “산단 내 신규 다운스트림 및 물류 인프라 투자를 촉진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장기적 산업 경쟁력 강화에 보탬이 된다”며 “향후 기초유분의 안정적 공급을 바탕으로 전방산업 및 물류설비에 대한 추가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울산지역을 포함한 국내 플랜트 관련 건설 및 운영을 위한 유지 보수 관련업계에게도 요즘 같은 건설 불경기에 큰 버팀목이 되고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S-OIL은 프리마케팅을 통해 해외 고객 확보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향후 수입 증가가 예상되는 일본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아람코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출 마케팅을 전개하여 한국이 글로벌 석유화학 공급망에서 중요한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S-OIL 관계자는 “샤힌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여,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근원적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국내 석유화학 산업이 새롭게 도약하는 전환점이 되도록 정부, 관련 업계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삼성전자 ‘XR 헤드셋’ 베일 벗었다…“멀티모달 AI로 혁신”
- ‘시흥 교량 붕괴’ SK에코플랜트·계룡건설 영업정지 6개월
- HD현대·한화오션, APEC서 K조선 알린다…수주 총력
- 현대차, 印 상장 1년…현지 경쟁 ‘격화’에 전략 강화
- 무신사, 7년만 BI 변경…브랜드 리빌딩 가속
- 리스크 벗은 카카오엔터, SM엔터와 시너지 극대화
- LG전자, 신용등급 3년만 상향…“印 IPO 흥행·실적개선”
- SK이노베이션, 6000억원 CB 발행…SK온 지분매입
- 동성제약 “인가 전 M&A로 거래재개”…기업 정상화 의지 천명
- 에어버스-캐세이, 980억 공동 투자…SAF 생산 확대 가속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천쌀문화축제, “쌀로 잇는 즐거움”...22일 개막
- 2해리농협 천일염가공사업소, 코스트코 매장 입점 기념식 개최
- 3김병전 부천시의회 의장, 지역 미식 산업 활성화 캠페인 참여
- 4인천관광공사, 경찰·기업과 함께 치안산업 혁신 기술 선보여
- 5삼성전자 ‘XR 헤드셋’ 베일 벗었다…“멀티모달 AI로 혁신”
- 6‘시흥 교량 붕괴’ SK에코플랜트·계룡건설 영업정지 6개월
- 7동양·ABL 품은 우리금융, 분기 1조 클럽 기대
- 8HD현대·한화오션, APEC서 K조선 알린다…수주 총력
- 9현대차, 印 상장 1년…현지 경쟁 ‘격화’에 전략 강화
- 10BNK 회장 선임 '깜깜이'…경고장 날린 금감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