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포화상태에 빠진 가맹사업 활로를 찾기 위해 나섰습니다. 소관부처인 산자부와 공정위,중기부 등 관계부처와 편의점주 대표, 가맹본부가 모여 머리를 맞댔는데요. 첫 회의 시작부터 고성이 오가며 삐그덕 거렸습니다. 제대로 된 지원안이 나올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김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편의점주와 가맹본부, 정부가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 가맹사업의 성장을 위해 머리를 맞댔습니다.
가맹점 산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그러나 회의가 시작하자마자 장내가 소란스럽습니다.
[인터뷰] 성인제/전국편의점협회 대표
“지금 저희하고 장난치시는 겁니까? 고용노동부는 왜 안왔습니까? 아니 그렇게 하시면 안되죠. 저도 바쁜데 불러 놓고… (편의점 본사) 지금 싸우러 오신거 아니죠? ”
당초 참석하기로 했던 관계부처인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참석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거기에 회의는 사전 공지나 동의 없이 갑작스럽게 비공개로 전환해 버렸습니다.
현안을 들여다보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자리라면 왜 공개를 못하냐는 지적과 함께 보여주기식 협의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다행히 어수선한 분위기를 뒤로 한채 회의는 진행됐습니다.
골자는 가맹사업 성장을 위한 해외진출 촉진 지원, 공정거래 강화.
세부안이 나온 것은 없지만 산업부는 가맹점들이 해외 진출에 눈을 돌릴 수 있도록 적극 돕겠다는 의사를 피력했습니다.
[인터뷰] 이동욱/ 산자부 중견기업정책과장
“앞으로 중소·중견·대기업으로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해외 진출을 통한 성장돌파구를 마련하고 가맹사업 공정거래 기반 강화 및 가맹점주 경영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
편의점주는 타 브랜드라도 반경 250m 이내 출점울 제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자영업자 지원 대책에서 이 규제는 빠진 바 있습니다.
또한, 최저임금 인상의 부담을 호소하며 추석 등 명절 기간 야간 자율 영업 시행도 요구했습니다. 현재는 가맹계약에 따라 본사의 허가가 있을 때만 공휴일에 문을 닫을 수 있고 이를 어기면 영업장려금이나 전기료 등을 지원해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산업부는 향후 몇 차례 논의를 더 거쳐 연말까지 가맹사업 지원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인데, 허울 좋은 정책이 아닌 업계 고충이 반영된 실질적인 지원책이 나올지 주목됩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jjss1234567@sedaily.com
[영상편집 김지현/영상취재 장명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