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일반 아파트값, 29주 만에 상승 전환…“추격 매수는 위험”

서울 아파트값 2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2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3% 올랐다. 재건축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각각 0.12%, 0.02%로 동반 상승했다. 서울은 주요 재건축 단지가 몰려있는 강남권이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송파(0.11%) △강남(0.08%) △강동(0.08%) △금천(0.07%) △중구(0.05%) △성북(0.04%) △서초(0.03%) △관악(0.02%) 등이 올랐다. 반면 수요가 뜸한 △강북(-0.05%) △도봉(-0.04%) △성동(-0.03%) 등은 하락했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강남권 재건축 시장이 가격 상승을 견인하는 가운데 집값 바닥 심리가 확산하면서 일반 아파트도 지난해 11월 이후 29주 만에 오름세로 돌아섰다”며 “특히 송파구 리센츠, 파크리오를 비롯해 서초구 아크로리버파크 등 한강변 아파트값 상승이 눈에 띄었다”고 말했다.

신도시는 0.02% 떨어져 내림세가 이어졌고, 경기·인천은 보합세를 보였다. 신도시는 △산본(-0.19%) △평촌(-0.08%) △일산(-0.04%)이 하락했고, △분당(0.01%)은 소폭 상승했다. 이외 신도시는 보합세를 나타냈다. 경기·인천은 △성남(0.09%) △광명(0.06%) △포천(0.02%) △구리(0.01%) 등이 올랐고, △용인(-0.03%) △안산(-0.03%) △시흥(-0.03%) 등은 내렸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1% 오르면서 상승 전환했다. △성북(0.17%) △송파(0.07%) △관악(0.03%) △용산(0.03%) 등이 올랐고, △강동(0.15%) △도봉(0.04%) △서대문(0.30%) 등은 하락했다.
임병철 수석연구원은 “서울 전세시장은 재건축 이주 수요 등 영향으로 상승 전환됐지만, 무더위가 일찍 시작된 데다 이사철 수요도 크게 줄어 당분간 안정세는 유지될 전망”이라며 “특히 이번 달 서울에서 아파트 7,000여가구가 입주해 전셋값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신도시 전셋값은 △평촌(-0.18%) △산본(-0.10%) △일산(-0.03%) △김포한강(-0.02%) 등이 하락했고, 다른 신도시는 변동 없이 보합세를 나타냈다. 경기·인천은 △성남(-0.14%) △용인(-0.14%) △평택(-0.10%) △고양(-0.07%) △이천(-0.06%) △수원(-0.05%) △시흥(-0.05%) 등이 떨어졌다. 반면 △안양(0.15%) △광명(0.09%) △안산(0.08%) 등은 상승했다.
임병철 수석연구원은 “서울 집값 바닥론이 번지고 있지만 추격 매수는 리스크가 있다”며 “정부와 서울시가 재건축 조합에 대해 긴급 점검에 나서는 등 선제 대응이 이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본격 반등을 예단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리고 분석했다. /유민호기자 you@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동반위-롯데리아, 진해중앙시장부터 상생캠페인 전개
- 중진공, 해외법인지원자금 첫 공급…글로벌화 지원
- 중기부, 인도 정부와 상호협력 방안 논의
- 대한상의 "美 상호관세 부과 관련 산업계 부담 최소화 도울 것"
-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 토허제 1년 더 연장
-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유가는 하락
- SNP 프렙, 다이소 '하이드로겔 아이패치' 론칭 후 '1위' 기록
- CU, 업계 최초 38개 언어 ‘AI 통역 서비스’ 도입
- 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서 가격 인상 계획 없어"…관세영향 평가 중
- 퀸잇, ‘2025 럭퀸세일 페스타’ 진행…4050세대 공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