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유한킴벌리 숲’ 여행상품으로 출시.. 기차여행·생태관광코스로 인기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 조성, 여의도 11배 면적의 1000만여 그루 소나무 숲
2003년부터 15년간 동북아산림포럼과 토진나르스의 사막화방지 위해 나무 심고 가꿔

[서울경제TV=이민주 기자] 몽골 셀렝게 주 토진나르스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유한킴벌리 숲’의 트레킹 코스가 몽골전문 여행사의 정식 여행상품으로 출시됐다. 해당 상품은 우리나라 몽골 전문 여행사인 AB 트래벌 등에서 여행상품으로 소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몽골 셀렝게 기차여행’ 상품으로, 몽골 현지에서는 생태관광 코스로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몽골 셀렝게 기차여행’에서는 시베리아까지 연결되는 횡단 열차를 타고 유럽식 침대 기차여행을 즐기면서 소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진 ‘유한킴벌리 숲’ 트레킹을 즐기는 코스를 소개하고 있다. 몽골 현지에서는 새로운 생태관광 코스로도 명성을 얻으면서 학생들과 시민들에게 나무심기와 숲 복원을 모범사례를 배우는 학습의 장소로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한킴벌리 숲’에는 10.4m 높이의 생태타워가 설치되어 사막화 방지와 숲 복원의 아름다운 장관을 느낄 수 있으며, 다시 생명력이 살아나면서 되돌아온 야생 동식물들을 관찰하는 색다른 즐거움도 제공한다. 몽골 토진나르스 ‘유한킴벌리 숲’은 유한킴벌리와 시민단체 ‘동북아산림포럼’이 1990년대 두번의 큰 불로 인해 황폐화된 지역 복원을 위해 2003년부터 약 1000만 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어 복원한 인공조림지이다. ‘‘끝없는 소나무 숲’이라는 뜻을 가진 토진나르스 지역은 두 번의 대형 불로 인해 사막화가 진행되었지만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을 통한 숲 복원 노력으로 현재는 여의도 11배에 달하는 크기의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몽골의 ‘유한킴벌리 숲’은 나무심기나 식목의 인식이 확고하게 자리잡지 못한 현지인들에게는 한국과 몽골의 민과 관이 상호 협력하여 숲을 복원한 좋은 사례를 보여주었으며, 작은 나무의 조림에서 지속가능한 산림으로 성장하는 가능성과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유한킴벌리 최규복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36년간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을 통해 우리나라 산림복원을 위해 노력했던 노하우가 바탕이 되어 몽골 사막화 방지에 작은 기여를 할 수 있었던 것 같다”며, “그 동안 함께 노력해 준 몽골 관계자분들과 동북아산림포럼, 각계 전문가분들께도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또한 “몽골 울란바토르에서도 먼 곳이라 찾아가기 어려운 지역임에도 국내 여행사와 몽골 현지 여행사에서 여행상품으로 소개하고 있다니 무척 기쁘고, 앞으로 사막화 방지숲의 좋은 모델이 되길 기대한다”고 바램을 전했다. /hankook6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타임빌라스 수원’ 1주년 기념 고객 감사제 진행
- 이디야커피,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관광객 결제 편의 강화
- 인천시, 차이나타운서 '1883 인천 짜장면 축제' 개최
- LG전자, 미국 소비자 가전 만족도 평가서 업계 최다 1위
- 신세계라이브쇼핑, 오는 25일 맨즈컬렉션 론칭
- 엔제리너스, ‘한쌈 고추장 불고기 반미’ 출시
- GS샵, AI 스튜디오 고도화…1년만에 방송 적용률 60% 돌파
- 카카오, ‘한교동 X 카카오프렌즈’ 협업 굿즈 출시
- CGV, ‘2025 아트하우스 독립영화 PICK’ 선정작 6편 선봬
- LS, 협력사 CEO 포럼 성료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동반성장”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 하반기 자전거도로 77km 전 구간 안전점검
- 2‘타임빌라스 수원’ 1주년 기념 고객 감사제 진행
- 3이디야커피,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관광객 결제 편의 강화
- 4인천시, 차이나타운서 '1883 인천 짜장면 축제' 개최
- 5"낮엔 자연, 밤엔 빛" 남원 함파우 지방정원 조성 박차
- 6한은 금통위 3연속 기준금리 동결…금융안정 택했다
- 7남원경찰서, 제80주년 경찰의 날… 경찰·시민 유공자 48명 표창
- 8장수군, 논개 탄신 451주년 기념 '의암주논개상' 시상
- 9안양시, 내년도 재난관리기금 282억 확정
- 10김동연, "주4.5일제, 생산성과 워라밸 모두 잡을 수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