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실손보험 손해율 급등…손보사 3분기 실적 '직격탄'

[서울경제TV=고현정기자] 주요 손해보험사들의 지난 3분기 순이익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28% 가량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으로는 자동차보험과 실손의료보험 손해율이 급등한 것이 꼽힌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DB손보·현대해상·KB손보·메리츠화재·한화손보·롯데손보·흥국화재·농협손보 등 9개사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총 5,021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6,950억원)보다 27.8% 줄었다. 업계 1위인 삼성화재의 경우, 작년 동기보다 32.6% 줄었고 DB손보(-19.2%), 현대해상(-28.3%)도 비슷한 상황이다. 업계 '빅4' 가운데 KB손보만 순익이 7.0% 감소하는 데 그쳤다.
또한 롯데손보는 작년 3분기 209억원의 순익을 거뒀으나 이번 3분기에는 54억원 적자를 내기도 했다. 한화손보의 3분기 순익은 작년 같은 기간의 24분의 1 수준인 14억원으로 축소됐다. 흥국화재는 1년 전의 반절 수준인 91억원에 그쳤다. 다만 농협손보는 작년 3분기 177억원 적자에서 올해 3분기 19억원 적자로 손실 폭을 줄였다. 메리츠화재만이 이번 3분기 순익 실적이 개선됐으나 보험영업에서는 적자를 기록했다. 채권 매각이익 등 투자 영업이익이 3분기 3,627억원으로 작년 동기의 두배로 증가해 전체 순익이 늘었기 때문이다.
실적 악화의 원인으로는 자동차보험과 장기보험의 손해율 증가가 꼽힌다. 실제 9월에 전 손보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90%를 웃돌았다. 적정 손해율이 80%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자동차보험만 놓고 보면 적자 상태인 셈이다. 장기보험에서는 실손의료보험 손해율이 높다.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되고 비급여 항목 진료가 늘어나면서 손해율이 상승했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실제 현대해상은 3분기에 자동차 손해율이 전년 동기 대비로 7.4%p 올랐으나 장기보험의 위험손해율은 11.9%p 상승했다./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시장 충격 대비 전직원 비상대응체계"
- 尹 탄핵 '인용' 후 원·달러 환율 1430원대로 하락
- 펠드아포테케, '2025 타이베이 뷰티 박람회' 참가
- NH농협은행 205억원 금융사고…대출상담사가 과다대출
- 안도걸 "지난해 대주주 3272명, 1인당 양도차익 29억 신고"
- CET1 방어 나선 금융지주…기업대출 조이기로 방향 틀어
- ‘美 관세충격’ 코스피 2500 붕괴…낙폭 일부 만회
- 핵심 인재 떠나고 빼앗기고...토스證 김규빈 리더십 시험대
- 롯데카드, 실적 부진·MBK 리스크…새 주인 찾기 ‘난망’
- 또 구설 오른 키움證, 이번엔 주문 '먹통'…점유율 1위 흔들리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