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실손보험 손해율 급등…손보사 3분기 실적 '직격탄'

[서울경제TV=고현정기자] 주요 손해보험사들의 지난 3분기 순이익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28% 가량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으로는 자동차보험과 실손의료보험 손해율이 급등한 것이 꼽힌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DB손보·현대해상·KB손보·메리츠화재·한화손보·롯데손보·흥국화재·농협손보 등 9개사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총 5,021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6,950억원)보다 27.8% 줄었다. 업계 1위인 삼성화재의 경우, 작년 동기보다 32.6% 줄었고 DB손보(-19.2%), 현대해상(-28.3%)도 비슷한 상황이다. 업계 '빅4' 가운데 KB손보만 순익이 7.0% 감소하는 데 그쳤다.
또한 롯데손보는 작년 3분기 209억원의 순익을 거뒀으나 이번 3분기에는 54억원 적자를 내기도 했다. 한화손보의 3분기 순익은 작년 같은 기간의 24분의 1 수준인 14억원으로 축소됐다. 흥국화재는 1년 전의 반절 수준인 91억원에 그쳤다. 다만 농협손보는 작년 3분기 177억원 적자에서 올해 3분기 19억원 적자로 손실 폭을 줄였다. 메리츠화재만이 이번 3분기 순익 실적이 개선됐으나 보험영업에서는 적자를 기록했다. 채권 매각이익 등 투자 영업이익이 3분기 3,627억원으로 작년 동기의 두배로 증가해 전체 순익이 늘었기 때문이다.
실적 악화의 원인으로는 자동차보험과 장기보험의 손해율 증가가 꼽힌다. 실제 9월에 전 손보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90%를 웃돌았다. 적정 손해율이 80%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자동차보험만 놓고 보면 적자 상태인 셈이다. 장기보험에서는 실손의료보험 손해율이 높다.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되고 비급여 항목 진료가 늘어나면서 손해율이 상승했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실제 현대해상은 3분기에 자동차 손해율이 전년 동기 대비로 7.4%p 올랐으나 장기보험의 위험손해율은 11.9%p 상승했다./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어라인소프트, AI 기술 美 특허 추가 등록
- 에이팩트 “SOCAMM2 테스트 양산 준비… 내년 1월 본격 가동”
- 벡트, 글로벌 로보틱스 솔루션 기업 TPS와 MOU 체결
- 아이톡시, 자본잠식 탈피 '절실'…돈 넣겠다는 법인 정체는
- 키움증권 "절세계좌로 ETF 모으면 현금 페이백"
- 삼성생명, 이승호 금융경쟁력제고TF장 사장 승진
- 신한證, 전 임직원 대상 AI 교육 역량 강화
- NH선물, ‘EUREX API 수수료 할인 이벤트’ 진행
- "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하나은행·네이버페이·SK브로드밴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해 협력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광주전남발전정책포럼, 2025년 광주 청소년 문화 대축제 개최
- 2코어라인소프트, AI 기술 美 특허 추가 등록
- 3에이팩트 “SOCAMM2 테스트 양산 준비… 내년 1월 본격 가동”
- 4벡트, 글로벌 로보틱스 솔루션 기업 TPS와 MOU 체결
- 5서울 소상공인 10곳 중 1곳만 AI 활용
- 6SPC그룹, 파리크라상 물적분할…"사업·투자 분리"
- 7SPC 배스킨라빈스, 2025 크리스마스 케이크 18종 공개
- 8당진시, 청소년 목소리 정책으로 담는다
- 9아산시, 겨울철 대비 ‘아산형 감염병 대응체계’ 가동
- 10천안시, ‘안심식당’ 현장점검으로 외식 위생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