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연립·다세대 등 빌라 매매·전세 가격 급등

[서울경제TV=설석용기자] 전국적으로 다세대 주택 등 빌라 거래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스테이션3이 한국부동산원의 빌라 평균 매매가 통계를 분석한 결과 서울은 7월 3억4,629만원으로 전달보다 28.1% 올랐다. 전국 평균 매매가는 2억214만원으로, 한 달 만에 16% 상승했다.
시군구 권역별로 보면 서울 강북 도심권(종로·중·용산구) 빌라 매매가는 4억9,013만원으로, 전달보다 37.9% 상승했다. 서울 전체 상승률을 9.8%포인트 웃돈 수준이다. 강남 동남권(서초·강남·송파·강동)과 서남권(양천·강서·구로·금천·영등포·동작·관악) 빌라 매매가는 각각 5억547만원, 2억9,015만원을 기록하며 33.7%, 32.1% 올랐다.
서울 빌라 7월 평균 전세금도 2억4,300만원으로 31.5% 치솟았다. 강북 도심권이 3억4,642만원으로 56.9%, 강남 동남권이 3억5,486만원으로 42.1% 급등했다. 강북 서북권(2억1,012만원, 은평·서대문·마포), 동북권(1억9,476만원, 성동·광진·동대문·중랑·성북·강북·도봉·노원)은 각각 21%와 21.1% 상승했다. 전국 평균 전셋값은 1억3,791만원으로, 15.5% 올랐다.
서울 빌라 평균 매매가와 전셋값 월간 상승률의 이전 최고치는 2017년 12월로, 각각 12.1%와 23.4%였다.
서울뿐 아니라 경기도와 지방 빌라의 매매가와 전셋값도 급등했다. 경기 경부1권(과천·안양·성남·군포·의왕)의 빌라 매매가는 4억5,811만원으로, 62.9% 올랐고, 전북은 8,110만원으로, 53.9% 상승했다. 부산 동부산권(39.7%·해운대·금정·동래·기장), 대전(36.9%), 강원(32.7%)도 30% 넘는 상승률을 보였다.
전세금의 경우 경기 경부1권이 2억9,112만원으로, 54% 상승했다. 전북은 5,557만원으로, 48.8%, 대전은 7,634만원으로, 39.6%, 부산 동부산권은 9,065만원으로 37.3% 올랐다. 세종(26.8%)과 강원(25.6%)도 25% 넘는 상승률을 보였다.
다방 관계자는 “아파트를 따라 빌라 가격도 오를 것이라고 보는 수요자들의 기대감으로 서울을 중심으로 빌라 가격이 치솟은 것으로 보인다”며 “전세난에 따라 전세 수요가 불어나면서 매매가를 지지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joaqui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스타벅스, ‘두번째 커피 60% 할인’ 전체 회원 대상 확대
- 하이트진로, LA다저스와 함께 ‘한국 문화유산의 밤’ 성료
- 중고나라, '셀프검수' 서비스에 AI 이미지 자동 검수 기능 도입
- 애즈유, 자사몰 전면 개편…"D2C 전략 가속"
- 농심, 日 반다이와 협업…'라면 키링' 출시
- GS25, 베트남 하노이 매장 日 평균 매출 500만원 돌파
- 펀앤아이, ‘2025 대한민국 소비재·서비스 수출 대전’ 참가
- 푸디스트 ‘식자재왕’, 美 첫 진출…“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화”
- 한화시스템, 3번째 'SAR 위성의 눈'…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
- 방윤혁 코웨이엔텍 대표이사, 2025년 과학기술훈장 수훈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스타벅스, ‘두번째 커피 60% 할인’ 전체 회원 대상 확대
- 2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장흥서 '지방자치분권 실현 대선공약 건의문’ 발표
- 3전남교육청, 2025년 제1회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6:1 기록
- 45·18기념재단, 오월 역사를기억하는 '메이데이' 개최
- 5전남도, 아시아·태평양 최대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쾌거
- 6수성구 황금2동 주민들, 산불 성금 모금에 적극 동참
- 7수성구, 첫 생태관광투어 출발…도심 속 자연과 예술을 잇다
- 8수성아트피아, 어린이날 ‘수성아트피아 키즈 페스티벌 – 아트 피크닉’ 개최
- 9달성군보건소, ‘빵빵이와 함께 건강 걷기’ 성료
- 10경북도, 지능적 납세회피 체납자 집중 추적 조사 나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