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금년 세계성장률 하향 전망
오미크론과 기타 불황으로 인해 작년 10월 전망치보다 더 더딜 것으로 예측

국제통화기금(IMF)은 오미크론 변종의 확산, 에너지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상승, 중국의 재정 부담 등을 이유로 작년 10월 전망치와 비교해서 올해 세계 경제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여러 외부 환경적 요인을 반영하듯 전망 보고서의 부제 또한 ‘증가하는 확진자 수, 경기회복 중단과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했다.
IMF는 세계 경제가 2022년에는 4.4%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작년 10월에 예측한 2022년 성장률 예상치인 4.9%보다 낮은 것이다.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인 미국과 중국의 동반 부진이 2022년 세계 성장률 하향 조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IMF는 미국의 성장률 전망을 작년 10월의 5.2%에서 4%로 하향 조정했는데, 미국의 경우 바이든 대통령의 천문학적 재정 정책인 ‘더 나은 사회 재건’ 법안에 대해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고, 공급난이 계속될 것이라는 점 등을 하향 이유로 들었다.
미국 경제는 현재 고객 주문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공급망 병목 현상도 문제지만, 40년 만에 가장 뜨거운 연간 인플레이션 상황을 식히기 위해 금리 인상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보내고 있는 연준의 움직임과도 씨름하고 있는 중이다.
미국 성장률과도 관련성이 짙은 캐나다의 2022년 성장률은 4.1%에서 3.3%로 하향 조정했는데, 대신 2023년 전망치에 있어서는 작년 10월에는 2.8%예상했으나, 이번에는 오히려 3% 성장할 것으로 기대됐다.
중국 경제는 올해 4.8%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지난해 8.1% 예측에서 대폭 하락했고 IMF가 10월에 예상했던 것보다도 0.8%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중국의 전망치가 하락한 요인으로는 코로나19 무관용 접근은 중국 부동산 부문의 재정적 긴축과 마찬가지로 민간 소비분야의 회복세가 더딜 이라는 점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IMF는 유로화를 공유하는 EU에 대해서는 2021년 5.2%에서 올해 3.9%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일본은 경제분야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덕분에 작년 1.6%에서 올해 3.3%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박진관 기자 nomad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박땅꾼의 땅땅땅] 왜 토지투자를 할까? 목표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정부 정책을 따라간다
- [이지연의 스마트 스피치] 자발적 IR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사람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1시간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무모한 도전이 될까, 위대한 도전이 될까?
- [대박땅꾼의 땅땅땅] 꼼꼼히 준비해야 하는 지목변경
- [대박땅꾼의 땅땅땅] 기획부동산을 조심하자
- [기고] 국가인재생태계 개혁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3,000만 원짜리 토지 투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해남군, 솔라시도에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확정 발표만 남아…삼성 SDS 컨소시엄 단독 응모
- 2고창군-서울시 청소년, 문화유산으로 이어진 '우정의 다리'
- 3고창, 3500억 규모 '삼성전자 스마트허브단지' 착공
- 4남원 누리시민 15만 돌파, 스탬프 투어로 지역상권 활력
- 5수성구, ‘제8회 대한민국 주거복지문화 대상’ 혁신상 수상
- 6수성구, 일본인 대상 ‘글로벌 한방스쿨 1기 전문코스’ 성공적 마무리
- 7영덕군, ‘국제H웰니스페스타 2025’ 개최
- 8대구대 디자인예술대학, 2025 교수작품전 개최
- 9계명문화대, 달서구보건소와 RISE 기반 지역 보건의료‧헬스케어 혁신을 위한 협약체결
- 10영남대, 중국 사천문화예술대와 음악예술 교육 협력 MOU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