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美 기술주 강세…국내증시 기술주 중심 차별화 장세 이어질 것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뉴욕증시는 테슬라 급등과 유럽중앙은행(ECB)의 기준금리 인상 등에 상승 마감했다. 국내증시 역시 기술주를 중심의 긍정적 흐름이 예상되는 가운데 종목별 장세가 펼쳐질 것으로 전망된다.
21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2.06포인트(0.51%) 오른 3만2,036.90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39.05포인트(0.99%) 상승한 3,998.95을 기록했고, 나스닥 역시 161.96포인트(1.36%) 오르며 1만2,059.61에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21일) 시장은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인상과 테슬라 주가 등에 주목했다.
ECB는 11년 만에 0.50%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제로 금리 시대의 종지부를 찍었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공격적인 긴축으로 시장의 예상보다 긴축의 강도가 강했다.
이에 최근 지속된 달러 강세가 완화되며 기술주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들의 예상 밖 호실적도 이어지고 있다. 전일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매출과 영업이익을 발표한 테슬라는 9.78% 급등 마감하며 800달러선을 회복했다.
이 외에 필립모리스, 아메리칸항공, 라스베이거스샌즈 등이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증권업계는 뉴욕증시가 ECB의 빅스텝과 경기침체 이슈 소화에 따른 기술주 강세는 국내 증시 관련 종목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전망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가 장 초반 ECB의 빅스텝과 경기 침체 이슈를 소화하며 강세를 보인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그동안 하락폭이 컸던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해 한국 증시에서 관련 종목의 강세가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어 서 연구원은 “달러 약세에도 불구하고 원화 약세 가능성이 부각된 점과 미 증시 마감 후 반도체 업종을 비롯해 대부분의 종목이 차익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하고 있다는 점은 부담”이라며 “이를 감안한 국내 증시는 0.3% 내외 상승 출발 후 다음 주 FOMC를 앞둔 가운데 매물 소화 속 미 증시 특징처럼 종목 장세가 펼쳐질 것”이라 전망했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헝셩그룹 "글로벌 스포츠 행사 공식 굿즈 사업 호조"
- 비에이치아이, '100억 규모' 중동 프로젝트 복수기 추가 수주
- 카카오뱅크 상반기 순익 2637억원…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
- 텅스텐 가격 14년 만에 최고치…'국산 광산' 개광 움직임
- 디어유, 中 아티스트 입점 지연…목표가↓-삼성
- 4대 은행 'LTV 담합 의혹' 2년 만에 결론내나
- '한국형 거대 AI 모델’ 구축 속도…관련株 모멘텀 부각
- 높아지는 손해율…손보사 실적 전망 '뚝'
- 한화생명, 신임 대표이사 권혁웅·이경근 취임
- '조선 기자재 통합 솔루션 기업' 에스엔시스, 공모가 3만원 확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제주 아테라, 188세대 프리미엄 주거단지 조성
- 2엔씨소프트 저니 오브 모나크, 신규 서버 업데이트
- 3벤하트, 제이알아이엔씨 맞손…파크골프로 글로벌 시장 공략
- 4LS그룹, 지속가능경영 방점…"스마트 기술로 안전∙환경 선도 "
- 5여름철 급증하는 '대상포진', 백신 맞았다고 안심해도 될까?
- 6예쁘다한, 외국인 대상 한약·비대면 진료 서비스 론칭
- 7경남도·양산시, '동부양산 시민과의 대화' 개최
- 8인고트 산양유, 출시 1년 맞아 전국 백화점서 오프라인 행사
- 9LG전자, 美 바이어가 직접 뽑은 최고 TV·AV·IT 석권
- 10S-OIL, '구도일'이 미래 비전 감각적으로 전하는 TV 광고 선보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