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그룹, ‘2022대성해강미생물포럼’ 개최
생명공학과 양자역학융•복합한 양자생물학의 현재와 미래 탐색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대성그룹(회장
김영훈)은 국내외 생명공학분야 최고의 석학들을 초대해 20일
조선호텔에서 ‘2022대성해강미생물포럼(DAESUNG HAEGANG
MICROBES FORUM)’을 개최했다.
대성그룹 김영훈 회장은 환영사에서 “양자생물학은 본질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심도깊은 분야이지만 지난 10~15년간
관련분야에서 가장 뜨거운 주제가 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양자생물학의 무한한
잠재력은 이론을 넘어 이제 응용의 단계로까지 접근하고 있다. 지난 수 십 년간을 에너지 분야에 헌신한
나로서는 양자생물학적 현상에 대한 좀 더 명확한 이해가 자연계의 에너지생산과 소비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돕고,
나아가 인류가 현재의 에너지시스템과는 차원이 다른 혁신적이고 효율적이며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초석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다섯 번째로 열린 올해 포럼의 주제는 ‘생명이란 무엇인가? 양자: 생명의
근원을 넘어 미래산업을 개척하다’(‘What is life? The Quantum – A new frontier
in biotechnology)’이며,최근 바이오 분야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 양자생물학(Quantum Biology)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양자생물학은
양자물리학 이론을 생물학에 결합해 그간 이해하기 어려웠던 생물학 분야의 수수께끼들을 하나씩 풀어내고 있다.
이날 포럼의주요 연사로는 양자생물학 분야대표적인 과학자인▲일본도쿄
대학의 조나단 우드워드(Jonathan R. Woodward) 교수를 비롯해, 나노입자를 대량 합성할 수 있는 ‘승온법’ 개발로 나노 입자의 응용 분야를 넓혀 세계적 석학으로 인정받고 있는
▲서울대 현택환 석좌교수,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에서 양자정보과학 그룹을 이끌고있는 ▲서울대 정현석
교수, 세계적으로 양자생물학 연구의 중심역할을 하는 영국 서리대학교에서 양자 바이오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김영찬 교수가 주요 연사로 참가했으며,시스템및 합성 생명공학 분야 권위자인 KAIST 조병관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2017년부터 시작된 대성해강미생물포럼은
그 동안 바이오테크를 활용한 미래 에너지 확보, 기후변화와 환경문제 해결, 난치병 치료 등 다양한 글로벌 이슈와 관련한연구 성과들을 공유하는 한편, 일반
대중에도 소개해 왔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제주공항 참사 100일 추모제]유족 인터뷰 "시간 흘러도 눈물은 멈추지 않아요"
- [제주항공 참사 100 추모제]"아들, 천국선 편히 쉬렴"…추모제 눈물 바다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00일 추모식 엄수
- [문화 4人4色 | 김춘학] 군산 은파 벚꽃 야시장을 둘러보며
- 순창 쌍치면 산불 2시간 만에 진화…최영일 군수, 현장 긴급 출동
- 남원시, 춘향제 3차 추진상황 보고회 개최
- 남원시, 옥상 비가림시설 '이행강제금 완화'로 시민 부담 경감
- 영덕군의회, ‘대형산불 피해복구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건의
- 배민우 민주당 청년위원장, '尹파면 촉구' 단식 5일 만에 병원 이송
- iM뱅크(아이엠뱅크), ‘산불 피해 복구 기부 릴레이’ 실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국토부, 공공주택사업자 대상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모
- 2택시요금 올라도 연말 서울 택시 이용 22%↑
- 3LG 에이머스 해커톤 개최…“AI 개발로 난임 치료 돕는다”
- 4쿠팡, PB 납품 중소협력사 630곳 늘어…고용인원 2만7000명
- 5한화비전, 북미 최대 보안 전시회 'ISC 웨스트' 참가
- 6삼성전자, '공급망 인권 관리' 부문 글로벌 ICT 기업 1위 차지
- 7韓조선 R&D 투자 최근 6년 연속 확대
- 8고환율 지속에 건설용 중간재 수입물가↑…공사비 상승 가능성
- 9동남아 덮친 트럼프발 상호관세에 전자 부품업계 초긴장
- 10거세지는 식품·외식 물가 상승세…가격인상 주춤해질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