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펀드 결성액 10조 넘겨…중기부 “벤처투자 인센티브 강화할 것”
3고 위기에도 벤처펀드 결성액 최대 기록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022년 벤처펀드 결성실적을 집계한 결과, 최대실적을 기록했다고 18일 발표했다.
2022년 벤처펀드 신규결성은 전년 대비 13.0%(1조2,308억원) 증가한 10조7,286억원으로 최초로 10조원을 돌파했다.
벤처펀드 결성현황을 분기별로 살펴보면, 2022년 1~3분기는 각각 동분기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기약정된 자금 유입, 벤처캐피탈들의 적극적 출자자 모집 등으로 고환율·고물가·고금리의 3고 복합 위기에도 1~3분기 벤처펀드 결성이 활발했다.
다만, 2021년 동분기 대비 2022년 벤처펀드 결성액 증가율은 1분기에는 68.1%였으나 3분기 3.3%로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4분기 벤처펀드 결성액은 전년 동분기 대비 13.0% 감소한 3조 5,307억원으로, 3고 경제위기가 벤처펀드 결성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2022년 벤처투자시장은 민간자금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자금의 벤처투자시장 유입이 가속화되면서 순수 민간자금으로 결성된 벤처펀드의 결성액은 4조 3,651억원으로 모태자펀드 결성액인 3조 8,572억원을 넘어섰다.
한편, 2022년 모태자펀드 결성액은 추경 등으로 모태자펀드 결성이 가장 활발했던 2021년에 이어 역대 2번째를 기록했으나, 모태자펀드 비중은 2005년 모태펀드 출범 이후 가장 낮은 36.0%로 나타났다.
이는 벤처투자시장이 민간자금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2022년 결성된 벤처펀드의 출자자를 살펴보면, 역시 민간부문 출자자의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다.
민간부문은 2021년 대비 19.8%(1조3,245억원) 늘어난 8조110억원으로 전체 출자의 74.7%를 차지한 반면, 정책금융 출자는 2021년 대비 3.3%(937억원) 감소한 2조7,176억원으로 전체 출자의 25.3%로 나타났다.
벤처펀드에 가장 많이 출자한 민간부문은 ‘금융기관’으로, 출자액은 2021년 대비 39.9%(6,921억원) 증가한 2조4,255억원이었다.
반면, 개인 출자액은 1조2,931억원으로 2021년 대비 10.6%(1,532억원) 감소해, 고금리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개인의 펀드 출자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정책금융 출자자 중 가장 큰 축을 담당하는 모태펀드는 1조3,971억원을 출자하면서 출자액으로는 역대 2번째였으나, 2021년보다는 12.6%(2,015억원) 감소했다.
한편, 2022년 1,000억원 이상 대형펀드 결성도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대형펀드 결성액은 4조 6,835억원으로 2021년 대비 45.9% 증가하면서, 전체 벤처펀드 결성액 증가율(13.0%)보다 3배 이상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 중 순수민간펀드는 2021년 대비 117.0% 늘어난(+7,504억원) 1조 3,917억원으로, 정책자금 출자 없이 대형펀드를 결성하는 사례도 크게 늘었다.
또한, 100억원 미만 소형펀드 결성(6,478억원, 6.0%)도 예년보다 높았다. 이는 2020년 8월(벤처투자법 시행)부터 창업기획자의 벤처펀드 결성이 허용되면서 벤처투자자 저변이 확대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3고(高) 위기에도 한 해 동안 10조원이 넘는 벤처펀드가 결성된 것은 그간 우리가 일군 창업·벤처 생태계의 견실함을 보여준다”면서도 “중소벤처기업부는 모태펀드 출자를 지속적으로 이어가면서 벤처·스타트업에 벤처투자가 적시 공급될 수 있도록 벤처투자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민간 자생적인 벤처 생태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민간 벤처모펀드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grace_r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리브랜딩 2년 이니스프리…‘제주’ 뗐더니 실적 뚝
- ‘추가비용 나몰라라’…SI업계, 공공기관 소송 증가
- “밑 빠진 독에 물 붓기”…SK이노, 또 중복상장 논란
- ‘압·여·목·성’ 토허제 1년 더 연장…‘풍선 효과’ 확산 우려
- 트럼프발 관세 충격…현대차·기아 “가격 안올린다”
- 탄핵 선고 하루 앞둔 네카오…“트래픽 폭주, 전면 대응”
- 윌라, 현대백화점서 ‘리스닝 라이브러리’ 체험 공간 공개
- 에스토니아 비즈니스 허브, 친환경 에너지 사절단 방한 행사 성료
- 기아, LG전자와 맞손…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PV5 슈필라움’ 선봬
- 한국마사회, 2025년 신입사원 임용식 개최…창사 이래 최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협의회, 상위인증 완주군 방문…2025 정책 협력 논의
- 2무주군, 세계태권도 옥타곤다이아몬드·그랑프리 챌린지 유치
- 3진안군, 파크골프 전문기업과 손잡고 전국대회 추진
- 4전주시, 벚꽃길 특별노선 운영…전기 마을버스 하루 10회 운행
- 5전북자치도, 美 관세정책 대응 나서…도내 수출기업 보호 총력
- 6전북자치도, 중견기업-지역혁신 얼라이언스 공모 선정…국비 42억 확보
- 7전북도소방본부, 화재조사 매뉴얼 제작 착수…TF팀 운영
- 8리브랜딩 2년 이니스프리…‘제주’ 뗐더니 실적 뚝
- 9‘추가비용 나몰라라’…SI업계, 공공기관 소송 증가
- 10“밑 빠진 독에 물 붓기”…SK이노, 또 중복상장 논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