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분주해진 은행들…'상생' 압박 수위 더 올린 尹

[앵커]
종 노릇, 독과점 비판으로 날을 세워왔던 윤석열 대통령이 은행권을 향해 또 한번 압박성 발언을 내놓으면서 은행들이 적지 않은 당혹감을 보입니다. 지난해 윤 대통령의 압박성 발언 이후 은행권은 2조 원 규모의 '상생금융'을 내놓았는데, 규모를 지금 보다 더 확대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게 은행권의 시각입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7일 한국 거래소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에서 또다시 금융권을 향해 의미 심장한 발언을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은행권은 고금리를 등에 업고 사상 최대 이익을 얻었다"며 "이익 6조 원을 낸 반도체 회사는 재투자를 하는데 은행권은 수익이 60조 원에 달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산업계는 힘든 과정에서도 재투자를 하고 있는 반면 은행권은 여전히 높은 수익을 얻고도 이른바 재투자도 없다는 비판입니다.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은행권을 향해 비판의 날을 세운 겁니다.
윤 대통령의 발언 이후 은행권은 다시 혼란스럽다는 반응입니다. 지난해 윤 대통령의 '종 노릇' '이자 장사' 발언 후 은행권은 앞다퉈 상생 금융안을 내놓았습니다.
여기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금융권 최고 경영자들을 소집하면서 상생 금융 규모를 더 확대하겠다고 나선 상황입니다.
은행 별로 집계된 상생 금융 규모는 KB국민은행이 3,721억 원으로 가장 많고, 하나은행 3,557억 원, 신한은행 3,067억 원, 우리은행 2,761억 원, NH농협은행 2,147억 원 규모입니다.
윤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현재 은행이 내놓고 있는 상생 금융 규모가 적다는 뜻이 아니겠냐는 해석이 지배적입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은행 담합 조사와 홍콩ELS 불완전 판매에 대한 제재를 앞둔 상황에서 나온 발언이라 의미심장하게 들린다"며 "상생 금융 자금 규모를 더 확대하라는 우회적 발언"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은행권은 지난해 연말부터 대출 금리를 큰 폭으로 내리거나, 은행연합회 주도 10조 원 규모 사회 공헌 발표, 1,000억 원 대 추가 금융 지원 방안, 자영업자 등 187만 명 대상 1년 간 낸 이자 일부를 돌려주는 방안을 발표하며 몸을 낮춰왔습니다.
이 때문에 총선을 앞둔 포퓰리즘 행보라는 비판과 동시에 일각에서는 민생과 관련한 추가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 같다는 긴장감도 돌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ad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하나카드, ESG 일환 '하나로 연결된 아이들의 마음' 사업 실시
- KB국민은행, '모니모 KB 매일이자 통장' 판매 한도 확대
- 하나증권, '대대손손 가족 손님 이벤트' 당첨자 선정
- 하나은행,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
- 대한항공, 3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목표가↓-KB
- NH농협카드, 미성년 자녀 가족카드 'zgm 스스로카드' 출시
- 미래에셋證, 임직원 가족 초청 ‘패밀리 페스티벌’ 확대 개최
- '주담대 승부수' 토스뱅크…정부 규제가 최대 변수
- 천정부지 코스피에…증권사, 실적·주가 '양날개'
- “고파이 해결하라”…국감 도마 오른 바이낸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롯데-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 中企 중앙유럽 진출 지원
- 2英 행동주의펀드 팰리서캐피탈 "LG화학, 극심한 저평가…자사주 매입해야"
- 3농심켈로그, ‘프로틴 그래놀라 제로슈거 컵시리얼’ 출시
- 4부산교육청, 5세 유아 대상 '가을 숲에 물들다' 숲체험 행사
- 5진에어, 묶음 할인 3종 국내선 확대 운영
- 6롯데웰푸드, 한국·파키스탄에 ‘쌀로칩’ 론칭 및 국가별 제품 출시
- 7"2월 여행 미리 준비해요"…제주항공, ‘J멤버스위크’ 진행
- 8종근당, 신약개발 전문회사 '아첼라' 설립
- 9하나카드, ESG 일환 '하나로 연결된 아이들의 마음' 사업 실시
- 10SPC 던킨, ‘원더스’ 청담 1주년 기념 온·오프라인 이벤트 진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