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가상 실험 후 실물로”…제품 개발에 '디지털 트윈' 적용
경제·산업
입력 2024-10-15 08:52:44
수정 2024-10-15 08:52:44
이혜란 기자
0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타이어 디지털 트윈 시스템 환경 구축

[서울경제TV=이혜란기자] 금호타이어가 타이어 디지털 트윈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제품 개발 디지털 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금호타이어는 2021년 타이어 개발 프로세스의 디지털 전환을 선언한 뒤, 센서를 적용한 스마트 타이어 개발을 비롯하여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 기술,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한 디지털 트윈 시스템 구축에 힘써왔다.
타이어 디지털 트윈 기술은 기존의 제품개발 프로세스인 실물 제품 개발 방식에서 디지털 공간 상에 개발 과정을 구현한 가상 제품 개발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신규 타이어 개발 프로세스는 디지털 기반으로 여러 버전의 타이어 제품도면을 자동으로 설계하고 빅데이터 및 FEM 성능 예측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버전을 선별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최적 설계를 통해 최종 버전을 산출한 다음, 차량 동역학 해석 기반의 가상 평가를 통해 타이어 성능을 최종 검증하는 과정을 거친다.
타이어는 회전저항, 제동, 마모, 승차감, 소음진동 등의 주행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품 컴파운드, 패턴, 구조, 형상 등의 설계인자들을 최적으로 디자인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금호타이어는 타이어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전반적인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혁신을 유도함으로써 제품 개발 기간 단축, 제품 성능 향상, 개발 비용 절감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김기운 VPD 센터장(전무)은 “금호타이어는 안전하고 편리한 미래를 목표로 모빌리티의 전환에 동참하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미래지향적인 선진 개발 환경을 바탕으로 기술 집약적인 제품 개발에 힘쓰며 기술 경쟁력 확보에 노력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향후 금호타이어는 타이어 트윈 기술을 클라우드(Cloud) 시스템 환경으로 전환하여 타이어 설계자가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동일한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빅데이터 및 수치해석 기반의 성능예측 시스템 개선, 차량 동역학 해석과 연계한 드라이빙 시뮬레이터(Driving Simulator) 기술 도입 등으로 디지털 전환을 고도화 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rann@sedaily.com
이혜란 기자 ran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정용진, G마켓 살릴까…신세계·알리바바 JV 의장 선임
- 슬림폰 전쟁 ‘옛말’…삼성·애플, 소비자 외면에 ‘전략 변경’
- 자동차업계 ‘시름’…관세·中경쟁·탄소감축 ‘삼중고’
- ‘취임 1년’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수익구조 과제”
- LG엔솔, 우주용 배터리 개발 참여…“사업 다각화”
- 넥슨, 3분기 실적 역성장…4분기 반등 시험대
- 크래프톤, ‘자발적 퇴사선택 프로그램’ 공지
- 셀트리온 소액주주 집단행동…“주가 횡보 책임져라”
- 뷰노, 3분기 흑자 전환 달성…“심정지 예측 AI '딥카스' 매출 성장”
- 고려아연, 한파 취약계층에 김장김치·방한용품 나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마곡 차병원 난임센터 오픈…아시아 최대 규모 AI 특화센터
- 2정용진, G마켓 살릴까…신세계·알리바바 JV 의장 선임
- 3슬림폰 전쟁 ‘옛말’…삼성·애플, 소비자 외면에 ‘전략 변경’
- 4자동차업계 ‘시름’…관세·中경쟁·탄소감축 ‘삼중고’
- 5‘취임 1년’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수익구조 과제”
- 6역대급 불장에 …兆단위 대어 잇단 IPO 노크
- 7LG엔솔, 우주용 배터리 개발 참여…“사업 다각화”
- 8"성장 돌파구 찾자"…자산운용사 탐내는 보험사들
- 9넥슨, 3분기 실적 역성장…4분기 반등 시험대
- 10크래프톤, ‘자발적 퇴사선택 프로그램’ 공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