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국내 양수발전사업 시장 공략 나서
경제·산업
입력 2024-12-03 09:08:42
수정 2024-12-03 09:08:42
이지영 기자
0개

정부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을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안정적인 계통운영을 위해 2038년까지 21.5GW의 장주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필요할 것으로 봤다.
대표적인 ESS로 평가받는 양수발전의 향후 건설될 설비용량은 5.7GW(총 9기)에 달한다. 이 중 첫번째 사업으로, 한국수력원자력은 13년 만에 충북 영동군에 500MW 규모의 신규 양수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이다. 이 외에도 홍천, 포천, 합천 등 다수의 양수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어, 향후 수 조원 규모의 주기기 발주가 예상된다.
양수발전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과 변동성을 보완하는 ESS로, 전력수요가 적은 심야의 저렴한 전력을 이용하거나 주간에 태양광으로 발생되는 여유전력을 저장했다가 전력수요가 증가할 때 상부댐의 물을 하부댐으로 낙하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또한 안정적인 에너지 저장∙활용이 가능하며 수명이 길고, 화재 등 위험성도 적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세계 ESS 설비 중 양수발전의 비중은 66.5%를 차지한다.
김종두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BG장은 "양수발전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망 안정성을 위한 최적의 대안"이라며 "원자력을 비롯해 수소터빈으로 전환 가능한 가스터빈, 수력 및 양수발전의 주기기 공급까지 무탄소 발전 솔루션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19년 세계 1위의 수력 및 양수발전 주기기 공급사인 오스트리아 안드리츠사와 사업 및 기술협력 협약을 체결해 수력 및 양수발전 주기기 설계 기술의 자립 발판을 마련했다. 또한 국내외 수력발전 사업 확대를 위해 한수원과 공동으로 수력발전용 30MW급 수차∙발전기를 개발하고 있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국투자 "S&P500, 4월 5250∼5950 등락 전망"
- 2NH투자 "이차전지, 공매도 재개 충격 흡수 뒤 반등 전망"
- 3갤러리아백화점, '오마르 아프리디' 신상품 선봬
- 4한화, 무인기 체계 사업 진출…“글로벌 무인기 시장 공략”
- 5신한투자 "이마트, 본업 경쟁력 강화"…11개월만 '매수' 의견
- 6DB증권 "LG이노텍 1분기 실적, 시장 전망치 상회 예상"
- 7CJ온스타일, 무라카미 다카시 ‘오하나 하타케’ 국내 론칭
- 8KB증권 "풍산, 올해 영업익 추정치 상향…목표가↑"
- 9현대차·기아, 지난달 美판매 전년比 13%↑…6개월 연속 기록 경신
- 10수출입銀 올해 4조원 규모 40여개 EDCF 사업 발주 예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