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中 인구 고령화에 따른 바이오의료 新시장 공략
경제·산업
입력 2024-12-09 11:00:03
수정 2024-12-09 11:00:03
이수빈 기자
0개
‘중국 국제의료건강산업박람회’서 한국관 운영 성료

[서울경제TV=이수빈 인턴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이달 7일부터 9일까지 사흘간 중국 창춘에서 개최되는 ‘중국(창춘) 국제의료건강산업 박람회’에서 한국관을 운영했다고 밝혔다.
주선양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KOTRA 창춘무역관이 공동으로 주관한 이번 행사에는 ▲오스템 임플란트 ▲다산제약 ▲세라젬 ▲한국 인삼공사 등 16개사가 참가했다. 중국의 인구 고령화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분야에서 현지 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 창춘시 정부의 적극적인 실버산업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 규모는 약 5만㎡로, 600개사가 넘는 중국과 외국의 병원, 제약회사, 기업 등에서 참가해 의료기기, 원료의약품, 제약 설비, 스마트 의료제품, 건강기능 식품 등을 전시하며 현장에서 열띤 상담을 이어갔다.
중국은 한국 의료기기의 주요 수출 시장이다. 2023년 한국의 10대 의료기기 수출국 가운데 중국 수출 비중은 12%로 미국 수출 비중 17%에 이어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출액도 2019년 약 5.8억 달러에서 2023년 약 6.5억 달러로 증가하며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60세 이상 고령인구는 2.9억 명으로 매년 약 1,000만 명씩 증가하여 전 인구의 21.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빠른 고령화의 영향으로 대표적인 실버산업인 노인 요양산업 규모는 2023년 약 1.7조 달러로 전년 대비 16.5% 성장했고 2024년 1월 중국 국무원의 실버경제 육성 정책 발표 등이 이어지며 관련 시장은 2027년 약 3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치과 의료 분야는 고령 환자의 발병률과 의료 서비스 수요 증가에 따라 2020년 이래 매년 15% 이상씩 성장해 2025년 약 383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 중국산 재활 의료기기가 중저가 시장에만 주로 집중되어 있어 기능성 물리치료용 재활 의료기기에 대한 수입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항노화를 위한 미용 시술 분야도 미백,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등을 위한 히알루론산 필러와 보톡스 등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면역력 강화와 질병 예방 등 건강관리 목적의 건강기능 식품에 대한 인기와 수요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황재원 KOTRA 중국지역본부장은 “대중 수출 확대의 새로운 모멘텀으로서 중국 인구의 고령화로 급성장 중인 바이오의료 산업을 주목해야 한다”면서, “국내 기업들이 첨단 기술력을 갖춘 치과, 재활 의료기기, 미용, 건강기능 식품 등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sb413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클리비즈] "한-계란 없다"…배달의민족, 계란 프라이데이 팝업
- 현대건설, ‘가덕도 신공항’ 손 뗀다…“장기표류 가능성”
- “1시간 배송”…이마트·올리브영 ‘퀵커머스’ 승부수
- 네이버 1분기 실적 ‘방긋’…쇼핑앱 효과 ‘톡톡’
- 금호석유화학, 1분기 깜짝 실적…“2분기엔 관세 여파”
- 쎌바이오텍, 1분기 영업이익 14억원… 전년 대비 27.1% 증가
- 씨젠, 1분기 매출 전년 대비 29% 증가… 흑자 전환 성공
- 미시간 주립대, 서울서 글로벌 동문회 개최…“지식·가치 연결하는 플랫폼”
- 종근당, 기억력 감퇴 개선제 '브레이닝캡슐' 캠페인 런칭
- 롯데에머티, 1분기 영업손 460억원…적자전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