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 SK에어플러스로 새 출발
경제·산업
입력 2024-12-19 09:29:44
수정 2024-12-19 09:29:44
이지영 기자
0개

에어플러스는 주된 사업 분야인 산소, 질소, 아르곤 등 산업용 가스(air)에 미래를 더해(plus) 나가겠다는 의미다.
신규 사명에는 반도체 공정 및 석유화학 산업에 필수적인 산업용 가스 생산은 물론 지구의 미래까지 개선해 나가겠다는 뜻이 담겼다. 기존 사명의 의미를 살리면서도 모회사인 SK에코플랜트와 반도체 종합 서비스 제공 등 측면에서 시너지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도 함께 반영됐다.
산업용 가스 산업은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고, 안정적 공급을 위한 고객사 접근성도 중요해 진입장벽이 높다. 대체산업이 없고 장기계약이 이뤄지는 특성으로 시장 변동성에 영향이 적어 견조한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지난 11월 1일 SK에코플랜트 자회사로 편입된 SK에어플러스는 울산 본사를 비롯해 이천, 청주 등 전국 5개 지역에 대규모 거점을 갖추고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공기분리장치(ASU)를 통해 대기 중 공기에서 반도체·석유화학·정유산업 등 공정의 필수재로 꼽히는 질소, 산소, 아르곤 등을 주로 생산, 수요처에 공급한다.
특히 최근 AI 열풍으로 반도체 수요가 늘면서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산업용 가스의 수요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질소는 반도체 원료물질을 웨이퍼까지 이동시키는 캐리어 역할을, 산소는 반도체 제조 시 발생하는 폐가스 처리에 주로 활용된다. 아르곤은 반도체 플라즈마 공정에, 액화탄산은 반도체 포토공정에 필요한 소재다.
그동안 쌓아온 SK에어플러스의 산업용 가스 생산·공급 및 플랜트 운영 역량과 SK에코플랜트의 대규모 프로젝트 및 플랜트 건설 경험, 반도체 종합 서비스 등 비즈니스 모델의 결합도 예상된다. SK에코플랜트는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하이테크 조직을 신설했다. 기존에 SK에코플랜트가 수행해 온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플랜트 EPC(설계·조달·시공)는 물론 기반시설 확충, 환경 서비스, 리사이클링 등 종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맡는다. SK에어플러스 역시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산업용 가스 공급을 중심으로 주요한 역할을 맡으며 시너지를 창출할 전망이다.
오종진 SK에어플러스 대표는 "SK에어플러스는 반도체 산업을 위한 솔루션 제공자로서 경쟁력을 갖췄다"며 "반도체 시장 성장에 대응해 질적 성장을 지속하는 한편 SK에코플랜트의 반도체 종합 서비스 사업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DL이앤씨, 영동양수발전소 착공식…"13년만"
- 2GS건설, 탄소 발생 없는 ‘친환경 전기’ 생산 추진
- 3여수해경, 봄철 해양안전 점검 강화
- 4스파이더-철인3종협회, 트라이애슬론 국가대표팀 후원 협약
- 5여수광양항만공사,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 2년 연속 '최우수'
- 6구례군, 지리산남악제·군민의 날 시민과 관광객 큰 호응
- 7국제라이온스클럽, 광주장애인펜싱선수 지정 후원
- 8해남군, 청소년 대상 1000원 안심귀가 택시 '호응'
- 9조성오 목포시의회 의장,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동참
- 10“입 냄새 고민 그만”…아쿠아픽, 신제품 ‘혀클리너’ 출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