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68개 中 12개만 1조클럽…양극화 가속
경제·산업
입력 2025-01-07 09:41:16
수정 2025-01-07 09:41:16
유여온 기자
0개
수도권-지방 점포 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

7일 백화점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롯데·신세계·현대·갤러리아·AK 등 5대 백화점 68개 점포의 전체 거래액은 39조8002억원으로 전년 39조4281억원보다 0.9% 증가하는 데 그쳤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역기저 현상과 보복 소비 심리에 힘입어 2021∼2022년 2년 연속 전년 대비 10% 이상 고성장한 백화점 업계는 지난 2023년 성장률이 1.7%로 고꾸라진 데 이어 지난해에는 1% 아래로 뚝 떨어졌다. 고금리·고물가 여파로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사별로 보면 롯데가 지난해 거래액이 13조8325억원(34.8%)으로 1위를 지켰고 신세계 12조6252억원(31.7%), 현대 9조4493억원(23.7%) 순으로 뒤를 이었다. 갤러리아와 AK가 각각 2조7991억원(7.0%), 1조941억원(2.7%)으로 4∼5위였다.
전년과 비교하면 롯데(1.2%↑)와 신세계(3.7%↑)만 거래액이 늘었고 현대(0.2%↓), 갤러리아(3.8%↓), AK(9.3%↓) 등 나머지 3사는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점포별 양극화 현상도 두드러졌다. 수도권과 광역시급 대형 점포만 성장했고, 지방 점포는 대부분 급격한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거래액 1조원을 달성한 점포 수를 보면 신세계와 현대가 각 4개 점, 롯데 3개 점, 갤러리아 1개 점 등 12개였다. 신세계 센텀시티와 대구점, 롯데 부산본점 등 3개를 제외하면 모두 수도권에 있는 점포들이다.
해당 12개 점포의 지난해 거래액은 21조936억원으로 전년 20조929억원 대비 5.0% 증가해 전체 거래액 증가율을 크게 상회했다. 전체 거래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1.0%에서 53.0%로 2%포인트 높아졌다. 사별 1조원 클럽 점포의 매출 비중을 보면 롯데가 2023년 43.7에서 45.5%로, 신세계가 63.6에서 65.1%로 각각 올라갔고 현대(55.2→57.1%)와 갤러리아(39.2→41.9%)도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이들 12개 점포를 제외한 나머지 56개 점포의 거래액은 2023년 19조3352억원에서 지난해 18조7066억원으로 3.3% 감소했다.
56개 점포의 80%가 넘는 45개가 역성장했다. 대부분 지방의 중소도시에 있는 점포들이다. 36개 점포는 2년 연속 거래액이 감소하며 극심한 부진을 겪었다. 업계에서는 앞으로도 수도권-지방 점포 간 양극화 현상이 지속할 것으로 전망한다. 수도권보다 소비력이 떨어지는 광역시와 중소도시의 경우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뛰어난 한 개의 백화점만 생존하는 '일극 점포 체제'가 굳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주요 입점사들의 매출 상위 점포 선호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이는 다시 상위 점포의 매출 집중도를 높이는 악순환 고리가 만들어졌다"며 "업체를 불문하고 지방 점포의 매각, 폐업, 업종전환 등 구조조정 시계가 더 빨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yeo-on031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HS효성첨단소재, 친환경 고성능 탄소섬유 개발 박차
- "크보(KBO)빵 없어 못 판다"…팬심 자극하는 ‘야구 마케팅’
- 포스코그룹, 현대차그룹과 미래 모빌리티 시장 선도 '맞손'
- LG전자, 텀블러 세척기 출시…"스벅 등 B2B 신사업 영역 확장"
- 호반호텔앤리조트, 지구의 날 맞아 ‘아일랜드 오션 러닝’ 행사
- 팝인보더, 중국 감성 커머스 '포이즌' 연동 서비스 시작
-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입주 1년 만 '완판' 목전
- 네이버 웨일, '웨일 UBT' 정식 출시…공교육 평가 최적
- 코웨이, ‘2025 리버 플로깅 캠페인’ 참가자 모집
- 네이버 해피빈, ‘마을여행 가볼까’ 제주 캠페인 열어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HS효성첨단소재, 친환경 고성능 탄소섬유 개발 박차
- 2"크보(KBO)빵 없어 못 판다"…팬심 자극하는 ‘야구 마케팅’
- 3포스코그룹, 현대차그룹과 미래 모빌리티 시장 선도 '맞손'
- 4LG전자, 텀블러 세척기 출시…"스벅 등 B2B 신사업 영역 확장"
- 5광주 남구 공직사회, '지역상권 소비 활성화' 총력 대응
- 6호반호텔앤리조트, 지구의 날 맞아 ‘아일랜드 오션 러닝’ 행사
- 7'무안 이전 반대위', 광주 군공항 이전 반대 입장 밝혀
- 8부산시, '스마트시티 특화형 분산에너지 통합 관리 플랫폼' 구축 나서
- 9광주 동구, 비대면 '희망 택배' 운영
- 10팝인보더, 중국 감성 커머스 '포이즌' 연동 서비스 시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