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AI브리핑’ 선보였지만…수익화는 ‘아직’
경제·산업
입력 2025-03-25 17:42:21
수정 2025-03-25 18:26:02
이수빈 기자
0개

[앵커]
네이버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검색 기능에 적용한 ‘AI 브리핑’을 오는 27일 선보입니다. AI가 검색 결과와 개인화된 추천 정보 등을 요약해 최상단에 보여주는 것이 특징인데요. 이미 구글과 같은 글로벌 빅테크가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와 차별성이 없는데다 오히려 기존 검색 광고 수익 모델이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수빈 기잡니다.
[기자]
네이버가 생성형 AI 기반 검색 서비스 ‘AI 브리핑’을 오는 27일 선보입니다.
AI를 통해 검색 경쟁력 강화에 나서겠다는 계획인데 뚜렷한 차별성을 갖추지 못한데다 오히려 안정적이던 검색 수익 모델이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AI 브리핑은 네이버의 자체 AI ‘하이퍼클로바X’가 검색 기능에 적용된 서비스입니다.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최상단에 AI가 요약한 답변과 콘텐츠 출처, 개인화된 정보 추천 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더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입니다.
다만 AI 브리핑이 네이버 검색 서비스의 경쟁력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생성형 AI로 검색 내용을 요약하거나 정보를 추천하는 기능은 이미 글로벌 빅테크에서 보편화된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2023년 구글은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 ‘SGE’를, 지난해 마이크로소프트는 ‘빙 생성 검색’을 출시했습니다.
네이버의 AI 검색 도입이 글로벌 빅테크의 서비스를 따라가는 수준에 그쳤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윱니다.
또 기존의 키워드 중심 검색이 AI 검색 서비스로 전환되면서 안정적이던 광고 수익 구조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현재 검색 방식은 사용자가 검색 결과 리스트를 둘러보고 직접 판단해 링크를 찾아 들어가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광고를 통한 수익 창출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최상단에 AI가 정보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방식으로 바뀔 경우 검색 광고 노출 기회가 줄어 수익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올해 모든 서비스에 AI 기술을 탑재해 본격 수익화에 나서겠다는 네이버.
글로벌 빅테크와의 차별성이나 뚜렷한 수익모델을 갖추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AI를 통한 수익화 실현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수빈입니다. /q00006@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메가팩토리약국, 여름철 취약계층 건강 지원
- 다리 붓기 케어 브랜드 ‘레그랩’, 정제형 신제품 ‘라인포뮬러’ 출시
- 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안지선(헤일리온코리아 본부장) 부친상
- 2조현, 美상원·백악관 인사와 면담…"전략적 경제 협력 심화"
- 3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4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5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 의혹 IMS·사모펀드 대표 동시 소환
- 6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7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8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9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10"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댓글
(0)